[사설]쌍용차 정상화 아직 멀다

  • 입력 2009년 7월 30일 03시 00분


노조원들이 공장을 점거하고 파업에 들어간 지 70일 만에 쌍용자동차 노사 분규가 협상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 법원과 채권단이 회생의 필수조건으로 내놓은 구조조정안을 놓고 노사가 대화를 재개하기로 함에 따라 쌍용차의 파산 가능성은 일단 낮아지게 됐다.

하지만 쌍용차가 회생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장기간 점거 농성으로 엉망이 된 공장을 정리하고 생산을 재개하는 데만 2주 이상 걸리고, 생산을 하더라도 판매망이 붕괴되고 브랜드 이미지가 실추된 탓에 정상화를 장담하기 어렵다.

정부는 파업을 풀어도 회생 가능성이 적다고 보고 청산 이후 부품업체와 평택 지역경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 중이라고 한다. 장기간 조업 중단으로 쌍용차는 그제까지 1만3556대의 차량 생산 차질을 빚었고 1분기에만 1257억 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파업 전인 5월 6일 당시엔 기업을 유지했을 때의 가치가 청산했을 때의 가치보다 3890억 원이 많았다. 2646명의 근로자를 줄이고 산업은행이 2500억 원을 지원하며 5년간 6개 차종을 개발한다는 전제 아래 평가한 결과였다. 그러나 생산도, 판매도 중단된 지금은 파업을 당장 풀고 기업 재평가를 한다고 해도 ‘파산 쪽이 낫다’는 결정이 나올 수 있다.

쌍용차 협력업체 대표들도 다음 달 5일 조건부 파산 요구서를 법원에 제출하기로 어제 결의했다. ‘뉴 GM’ 방식으로 쌍용차를 우선 파산시킨 뒤 우량자산으로 새 회사 ‘굿(good) 쌍용’을 만들면 협력업체들은 약 3000억 원 규모의 채권을 출자전환할 용의가 있다고 제안했다. 더는 버티기 힘들어진 협력업체들의 마지막 호소로 보인다. 파산 여부를 판단할 법원은 법정관리 중에 파산신청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신중히 고려해볼 필요는 있다.

지금까지 전체 협력업체의 절반인 300여 곳의 손해액이 890억 원이고, 공장 안 부품과 나머지 업체들의 손해액까지 합치면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미 협력업체 13곳이 부도가 나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10곳이 폐업했다. 절반 이상의 업체가 휴업이나 순환휴직제를 실시할 만큼 사정이 딱하다. 9월 법원이 파산 여부를 결정할 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런 와중에 야당과 일부 단체는 평택공장을 찾아 ‘정부가 나서 사태를 해결하라’고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노조 파업으로 부도 위기에 몰린 민간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은 원칙에 어긋날 뿐 아니라 국민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