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2027년까지 전 노선에 공공관리제 시행”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10일 17시 28분


코멘트

10일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출범식에서 밝혀
이달부터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단계적 시행
2027년까지 시내버스 6200여 대 전환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일 오전 도청 임시 버스 주차장에서 열린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출범식’에 참석한 뒤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등과 함께 시내버스 안에서 공공관리제 시행을 알리는 손팻말을 들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기도 제공

“경기도형 준공영제를 시행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수 있어서 정말 기쁩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0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열린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출범식’에 참석해 “전 버스에 대한 공공관리제를 2027년까지 시행하겠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경기도는 올해 시내버스 1200대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경기도 전체 시내버스 6200여 대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예정이다.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경기도와 시군, 버스회사가 함께 시내버스를 관리하는 경기도형 준공영제를 말한다. 버스 운영 수익을 도가 거둔 뒤 일정 기준에 따라 업체에 분배해 시내버스에 대한 공적 관리를 강화하는 방식이다.

공공관리제 시행 시점부터 노선의 차량 내외부 디자인은 ‘시군 간 노선’ ‘시군 내 노선’ 중 다른 시도를 경유하는 노선의 차량은 파란색이 적용된다. 단일 시군 내에서만 운행하는 노선 차량은 초록색으로 통일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일 오전 도청 임시 버스주차장에서 열린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출범식’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이 자리에는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과 남종섭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용인 3) 대표의원, 김정호(광명 1)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 김종배 (더민주·시흥 4)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장, 조용익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 부회장, 이기천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 의장, 김기성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과 조합원, 버스업체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지사는 “우리에게는 도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는 공통된 목표가 있다”라며 “함께 힘을 합쳐서 나아갔으면 좋겠다”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이번 과정을 통해서 얻은 또 하나의 성과는 서로 간의 신뢰 관계라고 생각한다”라며 “경기도는 여야 동수 상황에서 협치하면서 경기도민을 위해서 일하고 있고 많은 정책을 토론하고 양보하고 협조하면서 신뢰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은 “올해 새로 도입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이전 준공영제보다 투명성과 공공성이 진일보한 경기도형 정책”이라며 “무엇보다 열악했던 경기도 버스운수 종사자의 처우 개선 등을 통해 잦은 노선 폐지와 파업 위기로 불안했던 도민 교통서비스에도 안정성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기성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은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라는 버스 운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발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도민의 더 나은 교통복지 실현을 위해 우리 운송사업자들은 성실히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고 화답했다.
조영달 기자 dalsar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