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이 한줄]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는 ‘엄마의 역할’을 간과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5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 애덤 스미스가 저녁 식사에 들어간 노동을 가치 없다고 말할 수 있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그를 위해 스테이크를 요리해야만 한다.―‘잠깐 애덤 스미스 씨, 저녁은 누가 차려줬어요?’(카트리네 마르살 지음·부키·2012년) 》
 
‘국부론’을 쓴 애덤 스미스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그의 어머니 마거릿 스미스는 팔순이 넘어서까지 그를 돌보며 살았다. 애덤 스미스의 사촌 누이 재닛 스미스도 애덤 스미스를 위한 ‘돌봄 노동’에 종사해야 했다.

애덤 스미스는 “우리가 저녁을 먹을 수 있는 것은 푸줏간 주인, 양조장 주인, 혹은 빵집 주인의 자비심 덕분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그들의 욕구 때문”이라고 규정했다. 여기서 이기심을 바탕으로 합리적, 효율적 판단을 내리는 경제적 인간이라는 개념이 출발했다.

하지만 저자는 여기에 빠진 것이 있다고 말한다. 경제학의 출발점에 애덤 스미스를 위해 저녁을 했던 어머니, 혹은 사촌 누이, 즉 여성의 존재는 생략돼 있다는 것이다. 현대 경제학은 이처럼 세상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과 그들이 주로 담당해왔던 돌봄의 영역을 소외시킨 채 발달돼 왔다.

이는 주류 경제학이 가진 한계와도 직결된다. 저자는 경제적 인간이라는 개념은 인간이 섬처럼 홀로 존재할 수 있다는 환상을 바탕으로 한다고 말한다. 모든 것은 교환 가치로 환산된다. 나 자신조차도 끊임없이 자기계발을 통해 교환가치를 높여야 한다.

현대 경제학에서 인간이 무력한 갓난아기로 태어나 도움 없이 움직이기 힘든 노인으로 죽는다는 사실은 경제학의 세계에서는 무시된다. 이렇게 보면 자식을 임신하고 출산하는 여성의 신체, 즉 타인과 나를 분리하려야 할 수 없는 생물학적 조건은 당연히 경제적 인간이라는 개념과 불화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뻔히 존재하는 삶의 양상들을 무시한 이론이 과연 세상을 제대로 움직일 수 있을까. 저자는 이 같은 질문을 던짐으로써 주류 경제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페미니스트적 관점이 유효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사회, 경제, 정치에 변화를 가져올 때 경제적 인간 대신 진정한 인간으로 사는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한다. 대안 경제학의 다양한 주장을 가져와 쉽게 풀어 설명하되, 페미니즘의 관점을 더해 새롭게 읽힌다.

이새샘 기자 iamsam@donga.com
#애덤 스미스#경제학#카트리네 마르살#부키#잠깐 애덤 스미스 씨#저녁은 누가 차려줬어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