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 기술검토 현장조사…마르지 않은 눈물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월 25일 17시 44분


코멘트
25일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인근 세월호 침몰 현장에서 현대보령호에 탑승한 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들이 멀티빔 에코사운더 장비를 이용하여 인양 검토 조사작업을 하고 있다. 진도=박영철기자 skyblue@donga.com
25일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인근 세월호 침몰 현장에서 현대보령호에 탑승한 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들이 멀티빔 에코사운더 장비를 이용하여 인양 검토 조사작업을 하고 있다. 진도=박영철기자 skyblue@donga.com
지난해 4월 16일 이후 9달여 동안 바다 밑에 가라 앉아 있던 세월호의 상태가 3차원 형상을 통해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이 자료는 세월호 인양 여부를 판단하는데 쓰인다.

해양수산부 ‘세월호 선체처리 관련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는 2단계 현장조사를 위해 24일 바지선 ‘보령호’를 세월호 사고 현장에 투입해 27일까지 나흘간 선체 상태를 파악하는 조사를 진행한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의 전문가들은 25일부터 다중빔음향측심기(MBES)를 이용해 3차원 정보를 수집했다. 보령호에 장착된 MBES는 높이 24m, 지름 30cm인 원기둥형 측정기기로 음파를 바다 속으로 쏴 되돌아오는 데이터로 세월호의 모습을 3차원으로 그린다. 보령호가 동서 100m, 남북 200m 넓이의 침몰해역을 지그재그로 움직이면 MBES가 음파를 통해 배가 얼마나 기울어 있는지, 함몰된 선체 부분이 있는지 등도 파악하는 식이다. 선체상태는 세월호를 바다 위로 들어 올릴 수 있는지 파악할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전까지는 잠수부들이 20cm에 불과한 시계 때문에 감촉에 의지해 세월호의 상태를 가늠해 왔다.

3차원 정보를 수집한지 하루도 채 안된 25일 침몰한 세월호의 윤곽이 드러났다. 아직 자료 수집이 충분치 않고, 데이터 보정을 거치지 않았지만 뒤집힌 세월호의 선수갑판과 조타실 창문, 선체 지붕의 레이더 등의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용국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선체 함몰여부 및 개펄에 박힌 정도 등 인양에 꼭 필요한 선체 정보는 2월 중순경이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양기술원은 MBES로 얻은 자료를 영국의 해양 조사전문업체 에이더스(ADUS)와 함께 분석한다.

세월호 선체처리 TF는 2단계 조사가 끝나기 전인 26일부터 현장의 유속을 파악하는 3단계 조사에 착수한다. 앞서 이달 10일 시작된 1단계 현장조사로 해양과학기술원 소속 다목적 해양연구선 이어도호(357t급)를 투입해 수심과 지질구조, 퇴적물 등을 파악했다. 선체처리 TF는 이르면 3월말에 세월호 인양 기술검토 최종 보고서를 작성,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제출한다.

한편 TF는 25일 취재진과 안산 단원고 실종학생 남모 군, 박모 군의 부모 등 실종자 가족 네 명에 대해 조사현장을 개방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바지선을 보자 오열했다. 챙겨온 과자와 음료를 바다에 뿌리며 “아빠 왔다. 많이 춥지” “(아들아) 보고 싶다”라고 소리쳤다.

진도=김준일기자 ji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