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예술]혼탁한 세상… 아이들 웃음에서 구원을 얻다

  • Array
  • 입력 2010년 3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사람들을 욕하고 비난하는 일은 세상에서 제일 쉬운 일이야. 사람을 사랑하여라. 자연도 아껴 주고.”

2008년 8월 29일. 시인 김용택 씨(62)는 38년간 머무른 교단을 떠나면서 열두 명의 2학년 꼬마 제자에게 이 두 가지만을 당부했다. ‘공부 잘하고 나중에 훌륭한 사람이 되라’ 같은 말은 아예 생각도 나지 않았다.

봄날 꽃길에 엎드려 쓴 시에 대해 그는 ‘꽃들이 일러준 말을 받아 적은 글일 뿐’이라 했다. 그런 그에게 아이들은 고단한 인생길을 환하게 밝혀줬던 스승이다. 김 시인은 아이들에게 뭔가를 가르치기보다는 늘 함께 뒤엉켜 뛰놀며 웃고 울려 했다. “아빠도 할머니도 학예회에 오지 않는다”며 수돗가에 우두커니 홀로 서서 우는 성민이를 보고 그는 차마 아무런 말도 하지 못했다. 그저 어린 제자의 들썩이는 어깨를 꼭 감싸안고 등을 쓸어주며 함께 울었다.

저자는 ‘거짓이 판을 치는 사회에 은근슬쩍 섞여들지 못하고 고립의 두려움을 모르는 채 홀로 살아 왔다’고 썼다. 정치, 교육, 사회 등 일상에서 들려오는 세상 소식에 대한 상념을 두런두런 엮어나간 수필과 시구 사이사이에 때로 바짝 세운 칼날처럼 시퍼런 서슬이 느껴진다. 하지만 답 없이 반복되는 고민에 지쳐 아이들 이야기를 다시 꺼낼 때면 문장 위에 커다란 웃음이 피어난다. 아이들 덕분에 지금도 자신의 삶을 구원하고 있으니, 아이들을 스승으로 삼지 않을 수 없는 사람이다.

드문드문 삽입한 아이들의 글이 때로 작가의 글보다 포근한 온기로 독자의 마음을 끌어안는다. 각자 ‘잔소리’에 대한 생각을 말해보라고 했던 시간. ‘쓸데없는 소리’ ‘우리 잘 크라고 하시는 말’ ‘잘못해서 혼나는 말’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 시키는 말’…. 온갖 유쾌한 답안 중에 개구쟁이 민수의 대답이 유독 눈에 띈다.

“헷갈리는 말이오!”

처음부터 죽 읽어나가기보다는 여기저기 책장을 들추다 눈에 걸리는 문장 주변에서 쉬어가며 읽기에 좋다. 색상과 개수를 절제한 삽화도 편안한 느낌을 더한다.

손택균 기자 soh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