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비주류 예술 만화<슬픈나라 비통도시>출간

  • 입력 2001년 5월 18일 11시 34분


"만화 이미지는 너무 쉽게 처리되고 무시되어진다. 이것은 만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 하지 않은 결과다.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설명되어지길 이미지는 기대한다"

10여년에 걸친 작가 생활을 총집결시켜 예술 만화 <슬픈나라 비통도시>(초록배 매직스 펴냄)를 출간한 강성수씨는 책 서두에서 '만화는 이미지의 예술'이라고 당당히 주장한다.

백과사전만큼 커다란 판형으로 나온 이 책은 내용뿐 아니라 형식적인 면에서도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부조리한 사회를 비웃는 소재들로 가득 메워진 이 비주류적인 만화는 겉표지에서부터 누가 봐도 섬뜩할 만한 사진을 싣고 있다.

한 남자의 팔에는 주사기가 꽂혀 있고 그 주사기의 줄은 어린애 장난감같은 물총으로 연결돼 있다. 선혈이 낭자한 그 사진의 이미지는 한번 보면 잊을 수 없을 만큼 강렬한 느낌을 준다. 작가는 "우리가 살고 있는 '슬픈나라 비통도시'에서 이러한 물총질은 더욱 유희적"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총 40개의 장으로 구성된 단편 만화들은 국가와 사회와 가정을 극단적으로 조롱하고 있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비웃고 결국 그 안에 살고 있는 자신까지 철저히 조소한다.

세금이 69년 동안 걷히지 않은 비통도시에 파견된 공무원. '윗분'이라는 사람은 그에게 "일하다 무료하면 이 여자, 저 여자 건드리는 거 잊지 말게"라는 충고를 해주지만 결국 그는 그 여자들 때문에 자신의 성(性)까지 바꾸게 된다. 남성의 권리와 공권력을 휘두르려는 그를 마을 여자들이 트렌스젠더(성전환자)로 만들어 버리는 것.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우는 단 하나의 컷으로 이뤄진 만화, 행위 예술 스틸컷들과 어우러진 만화에서 보듯 파격적인 형식도 눈에 띈다. 어떤 만화는 거꾸로 읽어야 되고 어떤 만화는 책을 옆으로 뉘어 봐야한다.

책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컬러는 내용만큼이나 어둡고 차분하다. 거의 모두가 검정색을 배경으로 깔고 있어 이미지는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강씨는 90년대 초부터 획일화된 상업 만화 제작 시스템을 거부하며 실험만화 무크지 <만화실험 봄>을 창간하는 등 비주류 만화에 열중해 왔다. 그는 "이 책은 나의 실체를 드러내기 위한 몸부림이었고 고통스러운 작업이었지만 그동안 생각해 왔던 이미지들을 이 곳에 다 쏟아부으면서 한결 성숙해진 느낌이다"고 말했다. 19세 미만 구독 불가. 2만원

오현주<동아닷컴 기자>vividro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