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96>감어지수(鑑於止水)

  • Array
  • 입력 2012년 8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鑑: 거울 감 於: 어조사 어 止: 그칠 지 水: 물 수

흔들림이 없는 물에 비춰본다는 말로 장자 ‘덕충부(德充符)’ 편에 나온다.

노나라에 형벌로 한쪽 발이 잘린 왕태(王태)라는 불구자가 있었다. 그는 덕망이 매우 높아서 그를 따라 배우는 이가 공자의 제자와 비슷할 정도였다. 그래서 노나라의 현자(賢者) 상계(常季·공자의 제자라고 하기도 한다)가 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왕태는 외발이입니다. 그런데 그를 따르는 이가 선생님의 제자와 노나라 인구를 나눌 정도입니다. 서서 가르치지도 않고 앉아서 의논하지도 않았는데, 빈 마음으로 찾아가면, 꽉 채워서 돌아옵니다. 본래 말 없는 가르침이라는 게 있어서 형체가 없어도 마음이 완성된 사람이 아니겠습니까? 그는 어떤 사람입니까?(王태, 兀者也, 從之遊者, 與夫子中分魯. 立不敎, 坐不議, 虛而往, 實而歸. 固有不言之敎, 無形而心成者邪? 是何人也?)”

공자는 이 말에 그분은 성인이라고 하면서 자신이 스승으로 삼고자 하고 있으며 자신이 온 천하 사람들을 이끌고 가서 그를 따르고자 한다고 말했다. 상계는 궁금하여 공자에게 왕태라는 사람이 스스로 수양하여 마음속으로 터득하고 본심을 터득했을 뿐인데, 왜 세상 사람들이 그에게 모여들게 되느냐고 재차 물었다. 공자의 답은 이러했다.

“사람이란 흐르는 물을 거울로 삼지 말고 멈춰 있는 물을 거울로 삼아야 하니, 오직 멈춰 있어야 모든 것을 멈춰 있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人莫鑑於流水, 而鑑於止水, 唯止能止衆止).”

공자의 말은 “지수(止水)”, 즉 정지되어 가라앉은 물만이 비춤이 가능하듯 왕태에게 제자들이 달려가는 이유는, 그가 사람들을 일부러 불러 모으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모여들게 하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상심(常心)을 얻은 자는 사물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확보할 수 있지 않은가.

그러고 나서 공자는 소나무와 측백나무만이 늘 푸른 것도 바로 정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순 임금과 같은 성군만이 중생들의 마음을 올바르게(正) 할 수 있다고 하면서 상계와의 문답을 끝냈다.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한자#고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