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토크]감미로운 소나타 같은 ‘눈의 공주’ 아이스와인

  • 입력 2006년 12월 23일 02시 56분


코멘트
아이스와인(icewine)은 ‘눈의 공주’ 같은 와인이다. 추운 겨울을 꿋꿋이 이겨낸 아이스와인은 달콤한 맛을 낸다. ‘올 댓 와인’의 저자 조정용 씨는 “설탕 폭탄이 터져서 입안 가득 감미로운 소나타를 선사한다”고 표현했다.

이른 찬 서리가 빚어낸 우연한 결과물인 아이스와인은 독일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그래서 ‘아이스바인(eiswein)’으로도 불린다.

독일 농부들은 포도밭에 찬 서리가 내리고 영하 7도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마음을 졸이면서.

운이 좋으면 양질의 아이스와인을 얻지만 하늘이 시기하면 포도를 다 못 쓰게 될 수도 있다. 이상기온으로 따뜻한 겨울이 오면 아이스와인 생산은 포기해야 한다. 하늘에 그 운명을 맡기는 것이다. 그만큼 아이스와인은 귀하다.

포도의 수확은 일출 전에 이뤄진다. 해가 뜨면 얼음처럼 딱딱하게 얼어붙은 포도송이가 녹으면서 맛이 죽기 때문이다.

아이스와인을 생산하는 양대산맥은 독일과 캐나다. 독일은 아이스와인의 원조국가로 200년 이상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캐나다는 19세기 초 정착한 독일 이민자들이 아이스와인을 만들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이후 독일에 버금가는 아이스와인의 대국으로 성장했다.

아이스와인은 대부분 ‘리슬링’(독일)과 ‘비달’(캐나다)이라는 품종으로 만든다. 비달은 리슬링보다 껍질이 두꺼워 냉해에 더 잘 견딘다. 하지만 산도는 리슬링이 풍부하다.

독일의 리슬링 아이스와인은 최고급으로 꼽힌다. 세계적인 와인평론가 로버트 파커로부터 99점 이상을 받은 아이스와인이 10개나 있다. 반면 비달을 주로 재배하는 캐나다는 세계 최대의 생산량을 자랑한다.

젊은 아이스와인은 싱그러움이 매력이고 오래 숙성된 아이스와인은 우아하고 복합적인 맛을 낸다. 숙성될수록 색이 호박색으로 진해지고 희소성을 인정받아 가격도 치솟는다. 마시기 좋은 적정 온도는 5∼7도. 크리스마스와 연말, 소중한 사람과 함께 아이스와인을 음미해 보자.

▽잠깐!=가을에 포도를 수확한 뒤 냉장고에서 얼린 포도송이로 만든 와인은 인공 아이스와인이다. 미국 호주 스위스 등지에서는 ‘크리요(cryo)’란 이름으로 팔린다. 또 수확 최저 온도(독일 영하 7도, 캐나다 영하 10∼13도) 규정을 지키지 못한 와인(독일 영하 5도, 캐나다 영하 6도)은 아이스와인이 아니라 ‘늦은 수확(late harvest)’이라고 불린다.

이호갑 기자 gd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