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정훈의 호모부커스]근대 서점 120주년을 앞두고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5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회동서관(匯東書館)은 1897년 고유상이 설립하여 일제 때까지 존속했던 출판사 겸 서점이다. 서적뿐 아니라 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용품도 취급했다. 또 출판도 병행하여 초창기에는 신소설을, 나중에는 사전과 실용서 특히 산업 발달에 필요한 많은 서적을 간행하였다.’

서울 청계천 광교 앞 신한은행 건물(옛 조흥은행 본점) 화단에 있는 표석의 내용이다.

보충하자면 1897년 고제홍이 고제홍서사(高濟弘書肆)를 설립했고 그의 아들 고유상이 1907년 가업을 이어받으며 이름을 회동서관으로 바꾸었다. ‘문화는 인지(人智)에서, 인지는 학문에서, 학문은 문자에서, 문자는 서책에서’라는 모토를 앞세웠던 회동서관은 근대 출판역사에서도 중요하다. 이해조의 번역서 ‘화성돈전’(워싱턴전·1908년), 이광수의 ‘무정’(1922년 3판, 1925년 6판), 한용운의 ‘님의 침묵’(1926년) 등을 출간했다.

목사이자 신학자 최병헌이 아펜젤러의 뒷받침으로 1894년부터 종로에서 운영한 대동서시(大東書市)는 사설 도서관이자 기독교 서점이었다. 이정용이 1912년에 설립한 불교서관(佛敎書館)은 불교 서적과 용품, 서화를 취급했다. 최초의 근대적 고서점으로는 1932년에 간송 전형필이 인수한 것으로도 유명한 관훈동 한남서림(翰南書林)을 들 수 있다.

1900년경 한남서림을 시작한 백두용이 말한다. “당시 서점이라고 하면 몇 군데도 되지 아니합니다. 중앙서림, 대동서시, 신구서림, 광학서포, 회동서관 그리고 내가 하는 한남서림 등이었으며 한남서림만이 헌책만을 팔았습니다.”(매일신보 1930년 5월 1일)

‘몇 군데도 되지 아니하게’ 출발한 우리 서점은 1996년 5378개로 정점을 기록한 후 20년간 계속 줄어 최근에는 2116개이다.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인천 옹진군, 경북 영양군 울릉군 청송군 봉화군, 전남 신안군 등에는 서점이 하나도 없으며 단 한 곳뿐인 ‘서점 멸종 예정 지역’이 43곳이다.(‘2016 한국서점편람’)

내년이면 고제홍서사(회동서관) 설립 120년을 맞는다. 이를 근대 서점 120주년으로 기념하여 2017년을 ‘서점의 해’로 삼는 것은 어떨까. 마침 1993년에 ‘책의 해’를 선포한 전례가 있다. 또 무슨 식상한 ‘∼의 해’냐 할지도 모르지만, 특별한 해를 선포하고 나서야 할 만큼 많은 서점이 백척간두에 서 있다.
 
표정훈 출판평론가
#근대 서점#회동서관#고제홍서사#한남서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