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칼럼/김용희]‘연애’의 재구성

  • Array
  • 입력 2012년 7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용희 평론가·소설가·평택대 교수
김용희 평론가·소설가·평택대 교수
한국 사회는 ‘연애’ 열풍에 휩싸여 있다. 연애의 시대다.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결혼을 했는가 하지 않았는가는 상관이 없다. 커플링과 커플티, 커플 팝콘과 커플 좌석. 커플 휴대전화요금제와 커플 단축키. 점심 식사 후 커피 전문점 커피잔을 손에 들고 도심을 걷는 직장인들처럼 ‘연애’는 이 도시의 ‘문화’가 되었다. 도시인들은 문화를 즐기듯 ‘연애’를 먹고 마신다. 소비하고 즐긴다.

TV드라마 보면 낭만적 환상 가득


향내 나는 촛불 하트를 만들고 꽃다발을 준비한 채. 봉골레 파스타를 만들고 와인 잔을 부딪치면서. 여친을 위해 피아노를 치고 노래를 부르며.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 선물을 준비하며. 100일과 200일을 기념하면서. 미니 밴을 타고 남산을 드라이브하면서. 프러포즈는 공개적인 것이어야 하기에 여성들은 깜짝 이벤트와 감동의 프러포즈를 기다리고 있다. 사랑의 SNS는 하루 종일 도시의 혈관을 타고 수도 없이 공중으로 날아다닌다. 미니홈피에는 매일같이 새로운 커플 사진과 커플 일지가 공개된다. 연애는 도시문화의 라이프스타일이 되었다. 도시문화의 경품 혜택과 소비를 위한 프로젝트가 되었다.

텔레비전은 다양한 짝짓기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인기리에 방영되는 ‘우리 결혼했어요’(약칭 ‘우결’) ‘짝’ ‘러브 스위치’라는 프로그램. ‘연애’는 세련되고 화려한 ‘도시 문화’를 만끽하게 한다. 낭만적 환상을 소비하게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연애’의 환상을 완성시킨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신사의 품격’은 도시 골드 싱글 남녀의 시크한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준다. 화려한 도시적 연애를 보여준다. 장동건과 김민종 김수로 이종혁. 이들은 미드 ‘섹스 앤드 더 시티’의 골드 싱글녀를 한국판 골드 싱글남으로 바꾸어 놓은 인물들이랄까. 혹은 드라마 ‘꽃보다 남자’ F4를 꽃중년 4인방으로 바꾸어놓은 것이랄까. 지나치게 완벽한 외모에다 보디 스펙은 ‘장난’ 아니고 ‘패션의 리더’에다 인테리어가 완벽한 집. 이들의 직업은 어떤가. 건축설계사와 변호사, 청담동 카페 사장. 그들이 가지고 있는 소품들은 라이프스타일의 우아함을 더욱 빛나게 한다. 완벽한 드레스룸과 만년필 녹음기, 하얀색 지프차(일명 베티). 그들과 연애를 구성하는 골드 싱글녀들은 어떤가. 빼어난 외모의 골프선수에다 준재벌인 유학파, 신이 내린 직장 고등학교 여교사, 청담동 빌딩 건물주.

꽃중년 4인방이 햇빛이 잘 드는 카페 유리창 앞에서 파스타와 브런치를 먹을 때, 그들의 까칠함과 섬세함과 배려가 장난스러운 수다나 달콤한 연애로 이어질 때, 우리 시대 연애는 그야말로 ‘시대의 로망’이 된다. 경제적 전문적 능력과 완벽한 외모와 화려하고 세련된 매너 그리고 소품들. 드라마에서 연애는 우리 시대 현대인들의 피로를 풀어준다. 나르시시즘을 만족시켜 준다.

현실엔 돈-학벌없는 ‘찌질남’넘쳐


“엄마, 나, 저런 남자와 결혼할래!” 사춘기를 막 지난 딸은 드라마를 보며 내게 말한다. 그럼 나는 다부진 말로 대꾸한다. “저런 남자는 드라마에만 있는 거거든. 꿈 깨!” ‘그래봤자, 결혼하면 지지고 볶고 아내는 잔소리가 늘고 남편들은 퇴근하면 집 들어가기 싫어할 게 뻔한데…’ 하는 말을 나는 애써 목구멍으로 삼킨다. 그렇다면 나는 딸아이에게 드라마 ‘신사의 품격’과 함께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을 보여주어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멋진 허구’로라도 현실의 남루함을 덮도록 내버려두어야 하는 것일까, 고민한다.

로맨틱 코미디는 발랄하고 화려한 로맨스를 보여준다. ‘시크릿 가든’ ‘파리의 연인’ ‘최고의 사랑’. 그 전에는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커피프린스 1호점’이 있었다. 재벌 2세가 사극으로 가면 왕으로 등장한다(‘해를 품은 달’). 까칠하지만 로맨틱한 재벌 2세, 시크한 라이프스타일과 감각적인 대사. 그들과 단 한번이라도 사랑에 빠진다면. 여성들의 사춘기적 낭만적 환상은 스크린 위에서 잠들 날이 없다.

이를테면 현실에서 대형마트의 피자와 치킨은 얼마나 ‘착한(?) 가격’으로 팔리고 있는지. 왜 베이커리 체인점과 커피 전문점까지 영업 확장을 하고 있는지. 중소기업과 하청업자들이 얼마나 재벌기업에 쩔쩔매며 그들의 생명을 담보 잡히고 있는지. 현실 속의 ‘까도남’들이 얼마나 실제로 ‘까칠하게’ 장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왜 우리는 침묵하는가. 왜 드라마 속 ‘까도남’들은 언제나 스마트하게 잘 생겼는지. 이윤추구를 위해 강제 인수합병하는 이들이 어떻게 모든 것을 희생하고 여자를 위한 사랑의 로맨티시스트가 되는지. ‘명품 백’ 선물은커녕 돈도 학벌도 제대로 없는 ‘찌질남’들은 어쩌란 말인 것인지. 정규직 보장도 받지 못한 20대가 수두룩하기만 한데. 스크린은 허구에서라도 끔찍한 현실에 지친 현대인을 거대한 환상으로 위무해주는 것이 마땅한 것인지. 나는 잘 모르겠다. 24시간 편의점 알바생의 최저 시급은 아직도 4580원이다.

김용희 평론가·소설가·평택대 교수
#문화 칼럼#김용희#연애#드라마#로맨틱 코미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