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발언대]“우리 따님은 김자 ○자 ○자”

  • 입력 2001년 3월 13일 18시 37분


입시 학원에 근무하고 있다. 하루는 40대 중반쯤 되어 보이는 남자가 찾아왔다. 무슨 일로 왔느냐고 했더니 딸을 만나러 왔다고 했다. “따님 이름은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더니 “우리 따님 이름은 김자 ○자 ○자입니다”라고 했다. 나는 웃음이 나오는 걸 참느라 힘들었다. 이는 자기보다 윗사람의 이름을 부를 때 쓰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라디오를 듣던 중 모 방송국 희망가요 전화노래자랑 시간에 어느 남자가 노래를 하게 됐다.

진행자가 누구랑 같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 사람도 딸과 함께 있다며 “우리 딸 이름은 김자 ○자 ○자입니다”라고 했다. 진행자들이 깔깔거리고 웃어도 그 남자는 눈치채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 어떤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어느 주부가 보낸 편지를 읽어 주는 것을 들었다. 초등학생인 자기 딸을 ○○양, 아들을 ○○군이라고 표현한 글을 진행자가 계속 ○○양 ○○군 하고 읽는데 매우 듣기 거북했다. 이런 편지가 어떻게 채택됐는지 궁금하다. TV에서는 진행자와 초대 손님이 서로 자기 아내를 ‘우리 부인’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들었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나는 교수님이십니다” “우리 따님” “우리 부인” “우리 아들 ○○군” “우리 춘부장님”식의 표현은 예의에 어긋난다. 존칭어는 제대로 알고 썼으면 한다.

이 염 광(인천 남구 주안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