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와 구글 등 빅테크를 중심으로 글로벌 검색시장이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네이버도 AI 검색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네이버는 24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검색에 대해 하나의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하는 AI 검색 서비스 ‘AI 브리핑’을 27일 선보인다고 밝혔다. 별도의 가입이 필요없는 AI 브리핑은 사용자의 검색에 대해 다양한 출처를 AI가 참조해 요약된 답변을 제공한다.
블로그나 카페, 클립 등 요약된 답변이 참조한 원본 콘텐츠의 출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엔 기존 검색엔진에서 필요한 키워드를 넣어 관련된 블로그나 웹페이지 등을 찾아보고 해당 링크를 하나씩 클릭해 열어봐야 했다. 원하는 답변이 아니거나 내용이 부실하다면 뒤로 이동해 검색을 반복해야 하는 구조였다.
AI 브리핑은 정답이 있는 답변에 대해선 검색 결과 최상단에 핵심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전면허 갱신 구비서류’, ‘여권사진 안경’ 등을 검색하면, 정부 혹은 공공기관 등 공식 출처를 활용해 답변하고 관련 페이지로 연결을 지원하는 식이다.
다양한 콘텐츠 탐색이 필요한 질의에 대해 여러 출처를 AI가 요약해 사용자가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출처형 AI브리핑’도 제공한다. 이용자가 ‘칠 가이(chill guy) 뜻’처럼 최신 ‘밈(meme)’을 검색하거나 ‘드라마나 영화 결말’ 등을 물어보면 AI가 블로그, 카페 등의 네이버 콘텐츠를 활용해 바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교토 여행’처럼 여행 테마를 키워드로 검색하면, AI가 사용자들이 많이 찾고 생산한 정보를 분류해 꼭 먹어야 할 음식, 지역별 문화, 인기 호텔과 같은 상품을 알아서 정리해 제공한다.
네이버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로도 검색할 수 있도록 멀티모달 서비스를 연내 도입하고, 영어와 일본어 등 다국어 서비스 지원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김광현 네이버 검색·데이터플랫폼 부문장은 “아울러 AI 에이전트 시대가 일상에 도래하는 시기에 맞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글로벌 검색시장도 AI 기반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오픈AI가 웹검색 서비스인 챗GPT 서치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고, ‘구글 대항마’로 불리는 미국 퍼플렉시티도 신흥 강자로 부상했다. 글로벌 검색시장의 90% 점유율을 가진 구글도 자사 AI 모델 ‘제미나이’를 탑재한 생성형 검색 서비스 ‘AI 오버뷰’로 AI 검색을 강화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