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역-성별-나이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성에 차이”[바이오헬스케어 소식]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글로벌진단네트워크 발표 논문
GC녹십자의료재단 공동 연구
한국, 총콜레스테롤 수치 최저

GC녹십자의료재단(이사장 이은희)은 글로벌진단네트워크(GDN)와 공동 연구한 전 세계 17개국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검사 결과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논문이 국제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GDN은 글로벌 12개의 진단검사기관 협의체다. 국내 검사 기관으로는 유일하게 GC녹십자의료재단이 소속돼 있다.

이번 연구는 GC녹십자의료재단의 진단검사의학과 최리화 전문의와 안선현 전문의가 공동 저자로 참가했으며 9개의 GDN 소속 검사 기관과 존스홉킨스대학의 연구진도 합류했다.

GDN 소속 검사 기관에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한 5억여 개의 지질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국가, 지역, 성별, 나이에 따라 심혈관질환의 위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규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남녀 모두 중년기에 총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가장 높았다. 연령대, 성별을 통틀어 총콜레스테롤 평균 수치는 한국이 177.1㎎/㎗로 가장 낮았으며 오스트리아는 208.8㎎/㎗에 이르는 등 국가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 중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하는 총콜레스테롤 정상치(193㎎/㎗)를 초과한 국가는 오스트리아, 독일, 일본, 호주를 포함한 7개국이다.

최리화 전문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국가 간 문화적, 유전적 차이로 인해 지질 검사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질환이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 결과가 심혈관질환의 지질 매개 위험 완화를 위한 정책과 보건 시스템 접근 방식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안선현 전문의는 “17개 국가 중에서 한국의 평균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난 원인 중 하나는 발전된 보건의료 정책과 꾸준한 노력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향상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라며 “그런데도 국내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10명 중 3명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 주기적인 혈액 검사와 교육 등을 통해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
#헬스동아#건강#의학#심혈관질환#바이오헬스케어 소식#총콜레스테롤#gc녹십자의료재단#글로벌진단네트워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