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동아]‘수산물 원산지 표시제’로 건강한 소비문화 만들어요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장철이 시작됐다. 김장에 꼭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단골손님들이 있다. 바로 젓갈과 소금이다. 이 두 가지 재료는 발효와 장기간 보관이라는 김치의 특성을 가능케 해 김치를 비로소 김치답게 만들어준다.

김장김치에는 천일염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천일염이라고 해서 모두 다 같은 것은 아니다. 국내산 천일염은 천연 미네랄이 풍부하고 알칼리성에 가까운 산도(pH)를 띠고 있어 우리 몸에 가장 적합할 뿐만 아니라 염화나트륨 함량도 82.5% 정도로 낮은 편이다. 반면 수입 천일염은 산도가 4∼6 정도로 약산성을 띠고 쓴맛이 나며 염화나트륨 함량도 88∼99% 정도로 국내산에 비해 높다. 발효 과정에서도 차이가 나는데 김치에 국산 천일염을 넣을 경우 적당히 신 김치를 오랫동안 맛볼 수 있는 데 반해 수입 천일염의 경우 김치가 느리게 익는 대신 한번 익게 되면 금방 시어지게 된다.

소금의 차이는 젓갈에서도 나타난다. 국산 천일염을 사용한 국산 젓갈은 처음엔 짜지만 뒷맛은 달고 감칠맛이 도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제대로 된 유통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부 수입 젓갈은 질 낮은 소금을 넣어 쓴 맛과 텁텁한 맛이 많이 난다. 게다가 젓갈은 수산물을 주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재료의 상태와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의 관리에 따라 품질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수입 젓갈의 경우 국내산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지만 덜 신선한 상태의 수산물을 사용하는 상품이 많고 국내기업보다 유통과 제조 과정이 명확하지 않은 곳이 많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렇듯 원산지에 따라 품질 차이가 나지만 문제는 소금과 젓갈의 원산지 구별이 힘들다는 점이다. 젓갈의 경우 맛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지만 육안으로는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색소가 첨가된 일부 제품이 더 먹음직스럽게 보일 때도 있다. 소금은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외형뿐만 아니라 맛에 있어서도 흡사해 일반인들은 거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수산물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도 모른 채 구매할 수밖에 없는 것일까?

이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공정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수산물 원산지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다. 수산물 원산지표시제는 수산물이나 그 가공품 등에 대하여 원산지 표시를 하도록 하는 제도로 처음 도입된 1994년에는 수입 수산물만이 그 대상이었다가 현재는 식용 소금을 포함해 가공, 유통, 판매하는 모든 수산물로 그 대상범위가 확대됐다.

올바른 수산물 원산지 표시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명절, 휴가철, 김장철 등 수산물 수요가 높아지는 시기에 특별점검도 실시하고 있다. 작년 김장철을 맞아 김장철 성수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산물 원산지 특별점검에서는 원산지 거짓표시, 미표시 등으로 적발된 건수와 물량이 총 41건, 3만6408kg에 달했다.

요즘 먹거리에 대한 불신과 불안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알 권리에 대한 중요성 또한 나날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이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확인할 권리가 있다. 수산물 원산지표시제는 이러한 측면에서 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더불어 그들의 건강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황효진 기자 herald99@donga.com
#수산물 원산지#젓갈#천일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