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례문 살려냈던 ‘3D 스캔’ 전문가, 이번에는 라오스 寺院 복원 나섰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6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 민간 연구소 차린 박진호 소장
“개도국 원조 한몫… 실물 복원도 참여”

박진호 소장은 “3D 스캔은 문화재 손실에 대비할 수 있는 ‘보험’”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박진호 소장은 “3D 스캔은 문화재 손실에 대비할 수 있는 ‘보험’”이라고 강조했다. 대전=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지난달 초 복구된 국보 1호 숭례문을 비롯해 문화재 복원에 과학기술이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이 바로 문화재를 정밀하게 촬영해 기록하는 ‘3차원(3D) 스캔’. 3D스캔은 제품을 분해해 거꾸로 설계도를 그려내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역공학)’ 분야에서 쓰는 기술이지만 문화재 복원에도 많이 쓰이고 있다.

박진호 유라시아디지털문화유산연구소 소장(40)은 3D 스캔 분야의 독보적 존재로 꼽힌다. 미술사와 문화인류학을 전공한 박 소장은 대학원 시절 우연히 ‘3D 스캔 기술’을 접한 뒤, 이 분야에 집중해 국내에 몇 안 되는 전문가로 꼽힌다. 지난해까지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선임연구원으로 있다가, 올해 3월 해외문화재 복원 전문가로 거듭나기 위해 민간 연구소를 차리고 독립을 선언했다. 그가 다룬 문화재 중 대표적인 것이 석굴암. 박 소장은 2009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3D 스캔 기술로 정밀하게 기록했다. 이 데이터만 있으면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실물과 똑같은 석굴암을 등장시킬 수 있다. 만에 하나 석굴암이 화재나 지진 등으로 파손되더라도 정밀하게 복원할 수 있다. 박 소장은 숭례문 복구에도 큰 역할을 했다. 숭례문이 화마에 휩싸이기 직전에 민간 기업과 함께 스캔을 해놓은 덕분에 설계도 역할을 했던 것. 이 밖에도 신라시대 금동향로, 베트남 ‘후에’ 황성 등 많은 국내외 문화재도 그의 손을 거쳐 갔다.

최근 박 소장은 정부나 시민단체들의 개발도상국 원조사업(ODA) 증가 추세에 발맞춰 해외 문화재에 눈을 돌리고 있다.

현재 참여하는 해외 프로젝트는 두 가지.

우선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원 중 하나로 꼽히는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를 스캔하는 작업이다. 현재 보로부두르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지만, 매년 화산재가 날아들고 있어 현재 모습을 정밀하게 남겨둘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 복원에도 참여하고 있다. 홍낭시다 사원 복원은 우리나라 문화재청이 6년간 60억 원을 투자하는 대표적인 문화 ODA 사업으로, 우리나라로서도 외국 문화재 복원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 소장은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문화재 복원 원조를 하지 않던 나라였는데 홍낭시다 사업을 시작하면서 이런 오명을 벗게 됐다”며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에 집중하다 보니 중요한 문화재를 방치할 때가 많은데, 이런 문화재를 정밀한 3D 영상으로 남기고 실물 복원에도 최대한 참여하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대전=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3D 스캔#숭례문#라오스 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