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의 교훈… 전력공급 안끊기게

  • Array
  • 입력 2011년 5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 국내원전 안전강화 어떻게

육상 방호벽과 비상 발전기 침수 대비의 필요성 등 ‘한국 원전의 5대 취약점’을 지적한 본보 3월 29일자 A5면 기사.
육상 방호벽과 비상 발전기 침수 대비의 필요성 등 ‘한국 원전의 5대 취약점’을 지적한 본보 3월 29일자 A5면 기사.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국내 원전 21기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다.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대책은 지진, 해일 등으로부터 원전의 주요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와 함께 예상치 못한 정전사태에서도 전기가 공급되도록 보강한 게 핵심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문제가 일파만파로 커지지 않기 위해 원자로에 전력과 냉각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장치를 다단계로 마련한 점이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6일 브리핑에서 “원전 용지가 완전히 침수되는 상황에서도 원전에 비상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비상디젤발전기 시설 등에 방수문, 방수형 배수펌프 등 방수시설을 전 원전에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방수시설 설치에도 원전 내 모든 발전기가 고장 날 때를 대비해 차량에 싣고 다닐 수 있는 이동형 비상발전기도 2014년까지 원전 용지별로 1대씩 두기로 했다.

최악의 사고에서도 후쿠시마 원전처럼 폭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도 보강한다. 현재 고리 1호기, 신고리 1호기에만 있는 ‘피동형 수소촉매 재결합기(PAR)’를 2013년까지 모든 원전에 설치할 예정이다. 이 장치는 전력이 차단되더라도 수소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원자로의 수소를 처리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또 비상시 모든 국내 원전의 원자로에 냉각수를 외부에서 넣을 수 있는 길(유로·流路)을 내기로 했다. 후쿠시마와 같은 사태가 일어나더라도 냉각수를 원자로 내부에 주입할 수 있도록 조치한 것이다.

지진, 해일 등으로부터 원전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기준도 강화했다. 현재 가동 중인 국내 원전은 리히터 규모 6.5를 견디도록 지어졌다. 완공을 앞둔 신고리 3, 4호기의 경우 기준이 각각 리히터 6.9에 이른다. 정부는 신형 원전뿐만 아니라 모든 원전의 내진 기준을 2014년까지 6.9 규모로 보강하기로 했다. 이 장관은 “내진 설계 강화뿐 아니라 2012년까지 일정 규모(6.4 규모) 이상의 지진이 감지되면 원자로가 자동으로 멈추는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후쿠시마 사태를 보고 놀란 정부가 급하게 ‘백화점식’으로 대책안을 내놓은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재기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무조건 안전기준을 높인다고 합리적인 것은 아니다”라며 “단순히 가능성만 보고 최대 해일 높이나 대지진을 가정하다 보면 인력과 비용을 과도하게 낭비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김규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youta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