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경영의 지혜]도구의 노예냐 주인이냐… 갈림길에 선 현생인류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인류 문명의 눈부신 성취는 직립 보행을 하며 두 손을 자유롭게 쓰기 시작한 시기부터 이미 예고됐다. 인간은 도구를 만들 줄 아는 존재가 됐고, 호모 파베르(도구적 인간)들은 지구라는 별의 주인 자리를 차지했다. 인간의 제작 능력은 복잡하고 정교한 기계의 수준을 넘어 인공지능과 인공생명체 개발에까지 미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현재 인류가 직면한 위기 역시 호모 파베르가 된 그 시점에 싹튼 것인지도 모른다. 혹자는 인간의 도구 제작 능력과 그로 인해 형성된 인류 문명 자체를 재앙으로 여기기도 한다.

인간 문명에 대한 절대적 긍정과 마찬가지로 절대적 부정도 옳지 않다. 인류 문명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인류 생존 과정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도구는 생존과 인간다운 삶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요소다. 인간에게 도구 제작 능력은 본유적 능력으로 고귀하고 자연스럽게 부여된 것이다. 문제는 이 능력만을 확대한 나머지 인간의 더욱 중요한 본성인 성찰과 반성 능력을 도외시하거나 축소한 데 있다.

도구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오늘날 사회 도처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그 답을 알려준다. 주거 수단으로서의 집, 교통수단인 자동차, 생활의 편의를 위한 가구 가전 장신구 등 모든 물건이 도리어 사람의 주인이 된다. 구체적인 도구뿐만이 아니다. 기업 사회 국가와 같은 집단, 그리고 그것을 이끌어 가는 사상 제도 이념 등과 같은 추상적인 도구도 어느새 보이지 않게 사람들을 지배한다. 이쯤 되면 ‘도구적 인간’이란 말은 ‘도구를 만드는 인간’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도구의 도구가 된 인간’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것이 더 타당할지도 모를 일이다.

새로운 것, 신기한 물건을 보면 그것을 가까이 두고 즐기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그러나 사물의 본래성을 잊어버리고 그 새로움의 재미만 즐긴다면 결국 도구의 노예가 될 것이다. 도구를 만드는 능력이 인간 본유의 능력이라면, 그 노예 상태를 거부하거나 벗어나는 것 또한 인간에게 본래적으로 주어진 능력이다. 지속 가능한 발전과 개개인의 행복을 위해서라도 우리는 끊임없이 성찰해야 한다. 도구의 노예가 아닌 도구의 주인이라는 의미에서 ‘도구적 인간’이 돼야 한다.

이치억 성신여대 동양사상연구소 연구교수 muhayu@daum.net
#도구#인류#수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