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好통]문화수도 프로젝트… ‘공간’보다 ‘인간’에 주목을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6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김윤종 기자
김윤종 기자
요즘 국내 문화예술계를 보면 ‘문화를 공간화’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것 같다. 문화발전을 위해 특정 지역(공간)을 부각시키고 그 속의 문화요소를 발전시킴으로써 국가의 전반적인 문화수준을 향상시키겠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최근 진행되고 있는 ‘문화수도’ 선정 프로젝트다. 4월 설립된 재단법인 ‘코리아문화수도조직위원회’가 계획한 사업으로, 매년 도시 한 곳을 선정해 1년 내내 문화와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겠다는 취지다. 유럽(1985년), 아랍(1996년), 중남미(2000년)에서 시행된 ‘문화수도’ 제도를 벤치마킹한 것.

조직위는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은 후 △예술인과 지역민의 교류 △지역문화 독창성 △문화 소외 정도를 심의해 올 12월 ‘2016년 문화수도’를 선정할 계획이다. 조직위 김석은 이사장은 “여러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서 창립세미나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뿐만이 아니다. 중앙정부도 ‘문화의 공간성’을 중시하는 것 같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골프장 등 각종 개발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환경영향평가’처럼 한 지역의 문화역량을 평가하는 ‘문화영향평가제도’를 내년에 도입한다. 이를 위해 현재 평가항목과 지수를 개발하고 있다. 특정 지역 내 문화재, 유·무형 문화유산 유지, 문화수준을 평가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사업도 한창이다. 그 핵심이 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내년에 완공된다.

문화계에서는 의미 있는 일로 받아들이고 있다. ‘서울’이란 한정된 공간에 지나치게 집중된 문화행사, 나아가 문화권력을 전국으로 확산시킬 경우 균형 있는 문화발전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가 제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인프라도 갖춰져야 하기 때문에 공간을 중요시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공간’을 중시하더라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게 있다. 그 공간을 채울 인간 소프트웨어다. 그간 각종 문화정책이 소프트웨어는 제쳐두고 하드웨어에만 집중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예를 들어 문화수도의 경우 예술단체를 설득해 서울에서 개최되는 각종 문화행사를 지방에서 열도록 하겠다는 것인데,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의문이다. 일회성 이벤트란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

문화의 공간성 강화는 필요하다. 문화발전을 위해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이 필수다. 하지만 자칫 속빈 강정이 될 수도 있다. 부디 이 같은 시도들로 만들어진 문화적 공간에 알맹이도 꽉 채워지길 바란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