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묵의 ‘한시 마중’]<32>겨울에 먹는 냉면

  • Array
  • 입력 2012년 12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냉면은 추운 날 먹어야 더욱 맛이 있습니다. 냉면은 18세기 무렵 서도(西道)에서부터 유행한 듯합니다. 유득공(柳得恭)이 평양의 풍속을 시로 노래한 ‘서경잡절(西京雜絶)’에서 “냉면 때문에 돼지 수육 값이 막 올랐다네(冷면蒸豚價始騰)”라 하였으니 냉면에 넣을 돼지고기 값이 폭등할 정도로 냉면이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이면백(李勉伯)이 개성의 풍물을 노래한 ‘기성잡시(箕城雜詩)’에서는 “얼음 넣은 냉면에 뜨끈한 홍로주(冷면氷入紅露熱)”라 하였으니, 개성의 홍로주와 냉면의 궁합이 소문났던 모양입니다.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1798년 황해도 서흥(瑞興)으로 부임하는 사또를 보내면서 시를 지어 냉면을 먹을 수 있게 된 것을 부러워하였습니다. 눈 덮인 겨울 따뜻한 실내에서 솥뚜껑에 노루고기를 구워 먹습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보면 숯불을 화로에 피워 놓고 삿갓 모양의 솥뚜껑을 올린 다음 쇠고기에 갖은 양념을 하여 둘러앉아 구워 먹는 것을 난로회(煖爐會) 혹은 철립위(鐵笠圍)라 불렀다고 합니다. 그리고 입가심으로 배추절임 곁들인 냉면 한 사발을 먹습니다. 정약용의 후학 조두순(趙斗淳)이 마포에서 지은 시 ‘풍악소리 서쪽 누각에 요란하게 울리는데, 소나기에 저녁바람 불자 가을처럼 시원하네. 옆집 고운 여인이 새로 배운 솜씨를 발휘하였기에, 평양냉면이 사람의 목구멍을 시원하게 하네(笙簫迭發鬧西樓 驟雨斜風颯似秋 賴有芳隣新手法 箕城冷麵沃人喉)’라 한 것을 보면 19세기 무렵에는 서도의 냉면이 한양에까지 들어온 모양입니다.

이종묵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한시#냉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