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카페]위안화 허브, 한국을 최적지로…

  • Array
  • 입력 2012년 4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유재동 경제부 기자
유재동 경제부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9일 ‘최근 주요국들의 위안화 허브 경쟁’이라는 보고서를 냈다.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구하는 중국의 전략에 맞춰 세계 각국이 자국을 ‘위안화 거래의 허브’로 육성하겠다며 주도권 싸움을 시작했다는 내용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한국 최대의 무역상대국인 점을 감안할 때 한국도 위안화 거래의 중심지가 된다면 새로운 경제 성장의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제2의 경제대국’이라지만 그동안 중국은 자본시장의 성숙도나 세계화 측면에서는 후진국이나 다름없었다. 선진국의 거센 비판에도 정부가 환율을 철저히 관리해 왔고 외자 유출입도 엄격히 제한했다.

이런 기류에 변화가 생긴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였다. 기축통화 역할을 하던 달러화, 엔화 등의 위상이 추락하는 틈을 타 중국은 위안화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금융시장 개방의 물꼬를 트기 시작했다. 그 결과 중국의 대외교역에서 위안화의 결제 비중은 2010년 초 0.4%에서 지난해 말 9%까지 급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국을 위안화 거래의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각국의 경쟁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영국 은행들은 런던에 위안화 관련 사업부서를 새로 만들며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싱가포르가 위안화 국제화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실상 영업전선에 뛰어들었으며, 은행들도 속속 위안화 예금업무를 시작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올 초 중국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고 일본도 약 100억 달러(약 11조3000억 원) 규모의 중국 국채 매입 계획을 내놓으며 경쟁에 가세했다.

이 같은 현상은 양측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해외에도 위안화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는 금융 거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영국 홍콩 싱가포르 등 주요국들도 자국 금융산업 발전을 위해 위안화 허브 유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중국과 통화스와프 규모를 확대한 데 이어 최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본격 돌입하면서 위안화 허브 구축의 토대를 마련했다. 한국은 중국과의 무역 비중이 큰 데다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매년 많은 중국 관광객이 들어와 위안화 허브에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온다. 위안화 허브를 둘러싼 각국의 경쟁은 일자리와 성장동력 창출을 갈망하는 한국 경제에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유재동 경제부 기자 jarrett@donga.com
#위안화#중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