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윤중강]국악에 로맨스와 판타지가 담긴다면

  • 입력 2006년 4월 12일 03시 02분


코멘트
영화 ‘왕의 남자’와 드라마 ‘궁’이 큰 인기를 끌었다. 모두 전통에서 소재를 찾은 작품이다. 모두 있었던 이야기가 아니라 있을 법한 이야기를 보여 주었다. 그래서 식상하지 않고 신선하게 다가왔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빗대어 이야기한다거나, 현재에 과거를 대입했다는 점에서 퓨전 혹은 가상이라 부를 수 있다.

더불어 단순하게 흥미 있는 이야기일 뿐 아니라, 거기에서 우리가 느끼고 생각하면서 배우는 것이 있었다. 말하자면, 이것은 에듀테인먼트적인 콘텐츠였다.

지금 세상이 이렇게 이야기에 관심을 두고 있다. 돌이켜 보면 우리에게도 이야기의 시대가 있었다. 바로 판소리의 시대였다. 조선의 소리꾼은 이야기를 첨삭해 가면서, 더 좋은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누가 어떤 소재를 어떻게 얘기하느냐, 거기에 또 어떤 노래를 결부하느냐에 관심이 쏠렸다. 이야기는 소리와 결합해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사람들은 그를 통해 현실을 잊고 판타지를 경험했다. 판소리는 이렇게 이야기에 이야기, 소리에 소리가 더해지며 발전한 예술이다.

한국 사람은 근본적으로 이야기에 능하고,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건 요즘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뮤직비디오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요즘 히트한 노래들은 거의 드라마성이 가미된 뮤직비디오로 먼저 알려진다. 이른바 ‘뮤비’가 뜨면, 노래도 뜨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들에겐 흥미로운 사실이 있다.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에 끌렸을 때, 그것을 만들어 낸 시공에 관심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더불어 그런 시간과 공간 속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왕의 남자’ 덕분에 요즘 줄타기와 남사당에 관심이 높다. ‘궁’이란 드라마를 통해 한국적 인테리어가 유행할 전망이다. 과거 영화 ‘서편제’를 통해서 판소리에 대한 관심이 점증되었던 게 기억난다.

우리 국악에도 찾아보면 많은 얘기가 존재한다. 이제 숨어 있는 얘기를 캐내야 하고, 그것을 이 시대의 감성을 통해 아름답게 다듬어야 한다. 명기를 만들고자 했던 악기조성청의 악기장 얘기도 흥미롭지 않은가? 음악을 통해 신분 상승을 원했던 악공의 이야기는 또 어떠한가! 전통음악을 소재로 해서도 ‘대장금’ ‘별순검’ ‘왕의 남자’ ‘음란서생’ ‘궁’처럼 흥미로운 얘기가 탄생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의 국악계는 모두들 열심히 뛰고 있다. 각계의 지원도 적지 않다. 하지만 아쉽게도 투자와 노력에 비해 효과는 적다. 그것은 국악계의 노력과 당국의 지원이 공연과 음반에 치중해 있기 때문인지 모른다. 국악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데 등한했기 때문인지 모른다.

국악에 이야기를 담아내자. 역사와 민족에 매달리지 말아야 한다. 역설적이지만, 이런 것에서 벗어나야 이런 것이 돋보인다. 그 대신 이야기를 통해서 로맨스와 판타지를 집어넣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국악이 대중과 친해질 수 있는 첩경이다.

국악에서 소재를 찾아낸 드라마를 만들어 보자. 거기에 이야기를 담아 내자. 국악의 정서가 살아 있는, 운율감이 느껴지는 드라마를 만들어 보자. 과거 텔레비전에서 마니아층을 형성한 ‘한뼘드라마’와 같은 형태도 좋을 것이다. 적은 인원과 깔끔한 스토리에서 국악 혹은 국악기를 빛나게 하는 드라마를 만들어서 보여 주어야 한다.

이제는 국악영화, 국악만화, 국악드라마, 국악뮤비, 국악게임 등을 만들 때다. 이런 이야기를 통해서, 국악과 관련한 콘텐츠를 늘려 갈 때다. 상상이 풍성하게 포함된 이야기가 국악과 국민을 가깝게 해 줄 것이다.

윤중강 국악평론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