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신문 기사와 정부 해명자료 사이

  • 입력 2003년 4월 2일 17시 44분


코멘트
한국 부동산시장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정부의 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이다. 때문에 현명한 부동산투자자라면 관련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울 필요가 있다.

일반인이 정부 정책을 접하는 유일한 통로가 언론 보도다. 때로는 직간접적인 이해 때문에 미리 전해들을 수도 있겠지만 흔하지는 않다. 따라서 기사를 제대로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도 성공적인 재테크의 기본이다.

기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우선 기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알아야 한다. 우선 기사를 쓰는 기자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기자라면 대부분 다른 언론사 기자보다 한발 앞서거나, 깊이 있고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보도를 하기를 원한다. 이 때문에 건설교통관련 정책을 다루는 기자들은 밤낮 없이 정책 담당자를 만나고 전문가를 찾아다니며 좋은 기사를 발굴해내는데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확정된 정부의 계획을 분석, 정리해서 기사화하는 것은 물론 검토나 추진 단계에 있는 정책을 미리 입수해 보도하는 경우도 적잖다. 대체로 해당분야에 대한 깊이와 열정이 강한 기자가 많은 언론매체의 보도일수록 정확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기자의 전문성 및 취재 부족 등으로 실제와는 다른 내용의 기사가 소개되는 일도 있다. 이런 기사가 오보(誤報)다. 정부는 오보에 대해 ‘정정보도’를 요청한다.

하지만 오보가 아닌데도 정부가 일단 기사 내용을 부인하는 ‘해명자료’를 내는 경우도 있다. 시장에 미칠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인 때가 많지만 때로는 “우선 피하고 보자”는 식의 해명도 드물지 않다.

노무현(盧武鉉) 정부가 ‘언론과의 건전한 긴장(?)’을 표명한 뒤 정부는 이런저런 이유로 해명자료를 쏟아내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경우 홈페이지에 ‘홍보센터’를 설치, ‘언론보도해명’이라는 코너를 별도 운영할 정도다.

하지만 정부 해명자료가 반드시 ‘실체적 진실’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길게 봐서 한 두 달 뒤에는 처음 보도된 기사와 똑같지는 않더라도 비슷한 내용의 보도자료가 공식 배포되고 독자들은 이를 분석한 기사를 접할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