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프리즘]박성희/'대통령다운' 語法 이라야…

  • 입력 2003년 4월 1일 19시 17분


코멘트
같은 말이라도 누구의 입에서 나오느냐에 따라 느낌이 하늘과 땅 차이다. “공부하라”는 말을 공자(孔子)가 하면 진리처럼 들리지만, 부모님이 하면 잔소리로 들리기 십상이다. 동네 아주머니로부터 듣는다면 이건 엄연한 간섭이요, 사생활 침해다. 길을 가던 행인이 난데없이 “공부하라”고 한다면 그 사람의 정신상태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말의 입장에서 보면 누구를 주인으로 만나느냐에 따라 진리도 됐다 궤변도 된다. 불행하게도 말은 주인을 선택할 힘이 없다. 말의 불행은, 말을 하는 사람이 임자라는 데서 비롯된다.

▼주인 뒤바뀐 언론관련 발언들 ▼

말과 글을 매개로 하는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언론학자들은 요즘 머리가 혼란스럽다. 말의 텍스트와 주인이 얼른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말을 누가 했다고?”를 되묻는 경우가 많다.

바로 며칠 전 노무현 대통령이 했다는 “적당히 소주 한 잔 먹고 우리 기사 잘 써주면 고맙고, 내 이름 한 번 내주면 더 고마운 시대는 끝내야 한다”는 말은 언론 윤리교사나 할 법한 말이다. 이 말은 오히려 기자들의 입에서 “소주 얻어 마시고 잘 써주는 일 따위는 하지 말자”는 말로 나올 때 가장 패기있는 다짐으로 들린다. 대통령이 갖춰야 할 패기는 그런 것이 아니다.

‘오보와의 전쟁’이라는 말을 보자. 이 말은 언론사 사장이나 편집국장이 해야 제격이다. 한치의 오보도 줄이고 기사의 정확도를 높이자, 그래서 양질의 뉴스 생산을 극대화하자는 고용주의 다그침으로 딱 맞는 표현이다. 그런데 정작 이 말이 나온 곳도 대통령의 입이었다. “쓰레기통 뒤져서 특종기사 써라”는 말의 제 주인은 언론사 사건기자 팀장이나 사회부장쯤 돼야 한다. 아마도 이 표현이 문장사전에 실린다면 ‘정보가 나올 구석이라면 쓰레기통이라도 뒤져서 기사를 쓰는 적극성을 가지라’는 뜻 정도로 풀이될 것이다. 그러나 이 말 역시 주인이 바뀌었다. 이 말을 한 사람은 영화감독 출신의 문화관광부 장관이었던 것이다.

“통제되지 않는 권력, 검증되지 않은 권력은 대단히 위험하다”는 말은 언론학자나 언론인이 정부 권력의 잠재적 남용에 대해 경고할 때 딱 어울린다. 그러나 이 말도 권력의 핵인 대통령이 했다. 언론이 준 상처가 얼마나 컸으면 그럴까 싶다가도 “일부 언론의 시샘과 박해에서 우리 스스로를 방어해야 한다” “지난 5년 동안 (언론은) 국민의 정부를 끊임없이 박해했다”라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걱정이 앞서기 시작한다.

언론인에게 힘이 있다면, 그 힘은 여론에서 나오는 것이다. 직접 정책을 펼 수 없다는 점에서 정부 권력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그런데 행정수도 이전이나 이라크전 파병 같은 엄청난 국가 대사를 결정하는 사람이 언론 앞에 잔뜩 방어 태세로 무장하고 있다.

미국의 수사학자 하트는 말의 메시지를 지배하는 것은 화자(話者)의 역할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해리 트루먼 대통령에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에 이르는 미국 대통령들의 말을 대통령이 아닌 다른 사람들, 즉 목회자, 대기업 간부, 사회 운동가, 자치단체 출마자 등의 말과 비교해 대통령이라는 자리에서 나오는 독특한 화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대통령은 인간성을 강조하는 낙천적 화법을 구사하며, 매우 구체적이고 단순한 단어로 쉽게 이야기하고, 확신에 차거나 과격한 단어는 피하는 신중함을 보인다는 세 가지 특징이 있다고 밝혔다.

▼말과 역할 제자리 찾아야 ▼

린든 존슨이나 리처드 닉슨 역시 부통령 시절에 즐겨 쓰던 표현을 대통령 당선 후에는 쓰지 않았다. 힐러리 클린턴 현 뉴욕 주지사 역시 주지사 당선 후 퍼스트레이디 시절의 화법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고,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부인 엘리너 루스벨트는 경제 공황기에 국민을 다독거리는 어머니 같은 자애로운 말과 대통령 아내의 힘있는 말 사이에서 조화를 찾으려 노력했다.

말의 전환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뜻하고, 그 패러다임을 결정짓는 것은 사람의 사회적 역할이다. 역할과 말이 어긋날 때 사람들은 그 저의(底意)를 의심한다. 언론과 정부의 건강한 관계는 서로의 역할에 충실한 말을 찾아가는 데서 풀어야 할 것이다.

박성희 이화여대 교수·언론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