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이란, ‘수감자 석방-동결자금 해제’ 교환하며 핵협상 재개 전망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11일 15시 57분


코멘트

미국과 이란이 한국 내 이란 석유 자금 동결을 해제하기로 전격 합의하면서 사실상 결렬됐던 미국과 이란 간의 핵협상이 조만간 재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10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국방당국 관계자 등을 인용해 “미국과 이란의 구금자 석방과 동결자금 해제 맞교환은 오만 회동에서 이룬 광범위한 공감대의 일부”라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는 미국과 이란이 지난해 12월 이후 수차례 오만 등에서 회동을 갖고 이란 핵동결과 시리아 및 이라크에 있는 이란 지원 무장 세력의 활동 축소 등을 두고 협상을 해왔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번 구금자 석방 및 동결자금 해제가 향후 본격화될 핵 협상에 앞서 상호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선의의 조치’라는 얘기다. NYT는 또 다른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안에 미국과 이란 간 핵협상이 재개될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취임 초 이란 핵합의 복원을 최우선 외교 과제로 추진했으나 이란이 혁명수비대(IRGC)를 테러단체에서 해제해달라고 요구하면서 지난해 사실상 협상이 결렬됐다.

이란이 올 3월 시리아 주둔 미군기지를 폭격했고, 호르무즈 해협의 미국 선박을 납치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미국과 이란 간 긴장은 고조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이란 핵협상 재개를 추진하는 것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중동 외교에서 성과를 내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재선 도전을 선언한 바이든 대통령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사우디는 이란의 핵개발을 이유로 미국에 우라늄 농축 허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사우디는 중국의 중재로 이란과 관계 정상화에 합의한 바 있어 미국은 중동 지역 내 영향력을 드러낼 계기를 모색해왔다.

다만 미국과 이란이 핵협상을 재개하더라도 공화당이 공세를 펼 가능성이 높은 만큼 내년 미국 대선까지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짐 리시 상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는 이날 “동결자금을 해제하는 것은 미국인 납치에 보상을 주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