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음이 사라졌다”…남극 해빙 규모 역대 최저치 기록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1일 18시 16분


코멘트

美 NSIDC "해빙 규모, 역대 최소치보다 160만㎢ 적어"
남극 해빙, 2016년 기점 급속 감소…원인은 기후변화
전문가 "남극서 나타날 장기적인 변화 보여주는 신호"

지구를 식히는 남극의 겨울철 해빙 규모가 역대 최소치까지 줄었다.

미국 CNN 등은 지난 30일(현지 시간) 미국 국립설빙데이터센터(NSIDC)를 인용, 현재 남극의 겨울 해빙 규모가 지난해 기록한 역대 최소치보다 160만㎢ 적은 상태라고 보도했다.

NSIDC에 따르면 원래 남극 해빙은 남반구 여름의 끝인 2월 말쯤 가장 적었다가 겨울로 가면서 다시 늘어나곤 했으나 올해는 겨울철에도 해빙이 기대만큼 늘어나지 않고 있다. 특히 이달 중순 기준으로는 해빙 규모가 1981~2010년 평균치보다 260만㎢나 감소했다. 이는 세계에서 8번째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는 남미 아르헨티나 전체 면적과 같은 규모다.

남극 해빙은 지난 수십년간 주기적인 증감현상을 보여왔으나 지난 2016년을 기점으로 급속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과학자들은 최근 나타난 해빙의 급감 추세는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난 현상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남극 해빙의 변화를 초래한 요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콜로라도 볼더 대학의 빙하학자인 테드 스캠보스 교수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오염물질의 유입 증가와 관련 있는 남극대륙 상공 서풍의 강도 변화, 남극해 북부의 해양 온도 상승 등이 남극 해빙 감소의 원인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올해 나타난 현상은 남극에서 나타날 장기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매우 두려운 신호일 수도 있다”며 “앞으로는 예전과 같은 남극의 회복력을 못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2016년에 남극 해빙의 대규모 감소가 처음 나타난 이후 해빙의 양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지구의 큰 부분에 작용하는 주요한 무언가가 갑자기 지난 45년간 봐왔던 것과 다르게 행동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반면 NSIDC의 선임 과학자인 쥴리엔 스트뢰브 박사는 올해 남극 해빙의 양은 예년 평균치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이 사실이지만 남극 해빙이 매년 큰 변동성을 보여왔던 것도 사실이라면서 현재의 상태가 뉴노멀(New Normal·새로운 양태나 기준)일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