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부, 2027년까지 정부·국유기업 기기 중국산만 사용 지시”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7일 10시 47분


코멘트

'외국기업 배제' 비판 피하려 비밀리에 지시한 듯

중국 정부는 2027년까지 정부·국유기업이 사용하는 가무실 관련 기기·정보 시스템을 중국 기업 제품으로 구성하는 ‘국산화’를 완료하라고 내부 문서로 지시했다고 7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은 베이징 주재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의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이하 위원회)가 지난해 8월 이러한 정보시스템 전면 국산화 추진을 문서로 통보했다고 전했다.

‘79호 문서’로 불리는 해당 문서는 올해 1월부터 3개월마다 국산화 진전 상황을 위원회에 보고할 것도 요구했다.

중국 정부의 국산화 대상은 컴퓨터·복합기 등 사무기기, 서버·이메일·파일시스템 등이 대상이다.

중국 정부는 국산화를 ▲공산당·정부가 국산화 진행으로 국산 제품 질 향상·중견 브랜드 육성 도모 ▲금융·통신·전력·석유·교통·항공우주·교육·의료 등 8대 중요 업계로 국산화 확대 ▲그외 업계로로 확산 등 3단계로 진행할 방침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위원회는 79호 문서를 구두로 설명하고 손으로 베껴 쓴 것만 인정했다. 이후 문서를 회수해 갔다고 한다. 79호 문서는 위원회의 웹사이트에서도 공개되지 않았다.

신문은 “다른 나라로부터 외국 기업 배제라는 비판을 피하고자 증거를 남기지 않도록 한 모양”이라고 풀이했다.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와 정부조달협정 가입 협상을 15년째 이어가며 대외 개방 자세를 강조하고 있으나, 외교 소식통들 사이에서는 의심의 눈초리가 강해지고 있다.

미국 업계 단체 관계다는 신문에, 중국 국유은행에서는 이미 정보시스템 부분에서 IBM, 어도비 등 미국 대기업 제품을 채용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국가 안전을 하나의 ‘정보’로 규정하고 있다. 중국 기업만으로 고성능 제품을 제조할 능력을 구축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요미우리는 분석했다.

신문은 중국의 국산화로 외국 기업의 중국 시장 참가 여지가 적어지고, 앞으로 중국 기업이 이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를 꾀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