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금리 숨고르기’… 18명중 16명 “연내 추가인상”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15개월만에 기준금리 동결
‘연내 인하’ 1명도 없고 ‘동결’ 2명뿐
연말까지 0.5%P 올라 5.75% 전망… 파월 “1, 2년 지나야 내릴수 있을 것”
美, 추가 인상땐 한국물가 상승 우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4일(현지 시간) 워싱턴 연준 본부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개최한 직후 지난해 3월 이후 15개월 만에 미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4일(현지 시간) 워싱턴 연준 본부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개최한 직후 지난해 3월 이후 15개월 만에 미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 등을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14일(현지 시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보다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예상치를 나타낸 도표)가 더욱 매파 성향을 보여줘서 이목을 끌었다. 금리 인상을 놓고 매파와 비둘기파가 나뉜 연준 내부에서 파월 의장보다 긴축을 더 강력하게 주장하는 인사가 많다는 의미다.

이날 공개된 연준 점도표에 따르면 연말까지 금리 동결을 예상한 FOMC 위원은 2명뿐이었고 나머지 16명 모두 추가 인상을 가리키면서 올 연말 최종 금리를 3월 전망치보다 0.5%포인트 높인 5.5∼5.75%로 전망했다. 연내 금리 인하를 예측한 위원은 한 명도 없었다. 파월 의장도 “연내 인하는 없다”며 “한두 해가 지나야 인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0%로 2년래 가장 낮았지만 여전히 연준 물가상승률 목표 2%보다 높아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 확대 부담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파월 “금리 동결은 속도 조절 의미”
“동결 후 금리를 다시 올리느니 먼저 다 올려버리는 게 낫지 않나요?”

이날 기자회견에서 FOMC 위원 18명 중 12명이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보는데도 동결한 이유를 묻자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 속도와 (최종 금리) 수준은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간 0.75%포인트(P) 인상에서 0.5%P, 0.25%P로 (인상률을) 내려가며 금리 인상 속도를 합리적으로 조절해 왔다”며 “현재 금융 혼란 범위를 다 알지 못하고, 경제가 (금리 인상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동결은 속도 조절의 일환이지 긴축 종료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파월 의장은 “(점도표) 전망은 FOMC 결정이나 계획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달라”며 점도표대로 2차례 추가 인상하는 게 아닐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또 이번 동결을 ‘스킵(건너뛰기)’이라 부르고 싶지 않다며 7월 인상 여부에 대해서도 정확한 신호를 보내지 않았다. 그는 “7월 FOMC는 ‘라이브(실시간)’ 회의에 가까울 것”이라며 실시간 경제 지표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파월 의장 기자회견 이후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에서 투자자들은 7월 베이비스텝(0.25%P 인상) 확률을 64%까지 끌어올렸다. 글로벌 금융사 ING 수석 이코노미스트 제임스 나이틀리는 블룸버그통신에 연준의 ‘동결 후 인상 전략’이 “향후 정책 운용에 큰 유연성을 가져다준다”고 평가했다.

● 커지는 한미 금리 차…韓銀 고민
만약 연준이 하반기에 금리를 추가로 올려 한미 양국 금리 차가 더 커지고 이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오를 경우(원화 가치 하락) 원자재 수입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앞서 국내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3.3%로 집계됐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한미) 금리 격차가 얼마나 오래 유지되느냐가 중요하다”며 “미국이 하반기에 금리를 인하한다는 시장 참가자들의 예상이 빗나가고, 금리 차가 더 큰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 외환시장이 민감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만큼 높은 경계심을 갖고 국내외 금융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
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제롬 파월#연방준비제도#금리 숨고르기#한미 금리 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