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포칼립스 영화 같아”…캐나다 산불에 ‘주황빛 도시’ 변한 뉴욕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6월 8일 09시 57분


코멘트
7일(현지시각) 캐나다 산불로 연기가 자욱한 미국 뉴욕에서 자동차들이 월드트레이드 센터를 지나 웨스트 스트리트로 이동하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뉴욕=AP/뉴시스
7일(현지시각) 캐나다 산불로 연기가 자욱한 미국 뉴욕에서 자동차들이 월드트레이드 센터를 지나 웨스트 스트리트로 이동하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뉴욕=AP/뉴시스
캐나다 산불 여파로 접경 국가인 미국의 하늘이 주황빛으로 변했다.

7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에서 400건 이상의 산불이 발생해 뉴욕과 펜실베이니아 등 미국 동부 해안과 중서부 지역에 연기가 유입되고 있다.

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 위치한 자유의 여신상이 캐나다 산불 연기 여파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GettyImages)/코리아
7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 위치한 자유의 여신상이 캐나다 산불 연기 여파로 뿌옇게 보이고 있다. ⓒ(GettyImages)/코리아
황색 연기가 하늘을 뒤덮어 미국의 대표 랜드마크 ‘자유의 여신상’은 물론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이 자취를 감췄다. 미국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미국 최대 도시가 포스트-아포칼립스 SF 영화 장소처럼 보인다”고 전했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이날 홈페이지에 “캐나다 산불로 인한 연기가 대서양 연안 중부부터 북동부, 오대호 상류 일부 등에 이르는 지역의 대기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EPA의 대기질 정보 사이트 에어나우(AirNow)의 화재·연기 지도에서 해당 지역 위치와 실시간 대기질 정보, 건강 보호를 위해 취해야 할 행동을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

7일(현지시각) 미 뉴저지주 포트리에서 한 남성이 캐나다 산불로 오염된 대기 속 조지 워싱턴 다리를 바라보며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포트리=AP/뉴시스
7일(현지시각) 미 뉴저지주 포트리에서 한 남성이 캐나다 산불로 오염된 대기 속 조지 워싱턴 다리를 바라보며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포트리=AP/뉴시스
EPA는 미국에 사는 1억 명 이상의 주민에게 대기질 경보를 발령했다고 AFP통신에 밝혔다. EPA는 대기질 지수(AQI)가 151 이상일 때 모든 사람의 건강에 ‘안 좋은 수준(unhealthy)’으로 보고 경보를 발령한다. 현재 이 수준 이상으로 공기 질이 나쁜 지역의 인구가 1억 명에 해당한다는 의미다.

에어나우를 보면 AQI는 뉴욕시 364, 펜실베이니아주 리하이 밸리 464, 코네티컷주 스트랫퍼드 325, 뉴저지주 멘드햄 315를 각각 기록했다. AQI에 따라 6단계로 분류하는 공기 질 등급에서 300이 넘으면 최악인 ‘위험한(Hazardous)’ 단계에 해당한다. 평소 스모그로 악명 높은 인도 뉴델리(164)보다도 훨씬 나쁜 공기질을 기록한 것이다.

건강한 성인은 대부분 이 정도 공기에 노출되더라도 곧 회복하지만 천식 및 심혈관 질환 환자나 임산부, 노인은 유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미국 뉴욕의 펠햄 메모리얼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업 도중 캐나다 산불로 연기가 자욱한 창밖을 내다보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뉴욕=AP/뉴시스
미국 뉴욕의 펠햄 메모리얼 고등학교 학생들이 수업 도중 캐나다 산불로 연기가 자욱한 창밖을 내다보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뉴욕=AP/뉴시스
뉴욕과 워싱턴DC, 메릴랜드 몽고메리카운티, 버지니아 페어팩스카운티 등에서는 공립학교가 체육 수업 및 경기 등 야외 활동과 행사를 취소했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은 오는 8일과 9일 대기질이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예보하며 호흡기 질환자를 중심으로 마스크 착용을 권고했다. NWS의 기상학자 마이크 하디먼은 뉴욕타임스(NYT)에 “마치 화성을 보는 것 같다”며 “담배 냄새가 난다”고 현재 상황을 전했다.

7일(현지시각) 캐나다 산불로 연기가 자욱한 미국 뉴욕에서 시민들이 월드트레이드 센터 인근 도로를 횡단하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뉴욕=AP/뉴시스
7일(현지시각) 캐나다 산불로 연기가 자욱한 미국 뉴욕에서 시민들이 월드트레이드 센터 인근 도로를 횡단하고 있다. 캐나다 산불로 미국 북동부 지역에 대기질 경보가 발령됐으며 관계 당국은 취약계층에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뉴욕=AP/뉴시스
캐나다 산불은 계속 확산하고 있다. CNN 등에 따르면 빌 블레어 캐나다 비상계획부 장관은 여전히 414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여 곳은 불길이 강해 당국의 진화 작업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발생한 산불로 이날 현재 380만 헥타르(3만8000㎢)의 캐나다 국토가 소실됐다. 남한 면적(약 10만㎢)의 3분의 1을 넘는 규모다. 원주민 6500명을 포함해 2만여 명 이상의 주민이 대피했다.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