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우크라戰 몇개월 전 러시아에 드론 보냈다” 첫 시인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1월 6일 21시 12분


코멘트
우크라군 격추 이란제 드론 잔해. 뉴시스
우크라군 격추 이란제 드론 잔해. 뉴시스
이란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무인기(드론)을 제공한 사실을 5일 처음으로 시인했다.

호세인 아미르압돌라히안 이란 외교장관은 이날 국영 IRNA통신에 “우크라이나 전쟁 몇 개월 전 러시아에 드론을 조금 보냈다”고 밝혔다. 어떤 드론을 몇 대 제공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란은 그간 드론 제공 사실 자체를 부인해 왔다. 이란은 러시아에 미사일도 공급했다는 서방 주장에는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와 서방은 러시아가 올 8월부터 우크라이나의 주요 인프라 및 민간인 공격에 이란제 드론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17일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서는 이란제 자폭 드론의 공격으로 최소 8명의 민간인이 숨졌다. 또 키이우 전력시설 공격에도 이란제 드론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우크라이나 측은 이란이 자폭 드론 ‘샤드-136’, 정밀 타격이 가능한 공격용 드론 ‘모하제르-6’ 2000여 기를 러시아에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이란의 드론 제공 사실 시인에 “이란은 (드론 제공을) 시인하는 과정에서도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어제(4일)에만 (우크라이나 영공에서) 이란제 드론 11기를 격추했다, 이란이 명백한 사실을 계속 부인하면 국제사회는 러시아와 이란 간 테러 협력을 조사하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키이우 시 당국이 전기가 완전히 끊어지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시민 300만 명의 대피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5일 전했다. 로만 카추크 키이우 보안국장은 “러시아군의 공격이 이어지면 전력 체계를 완전히 잃을 수 있다”며 “최소 12시간 전에는 (전기 공급 중단 상황이 다가옴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주민들에게 이곳을 떠나달라고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당국에 따르면 현재까지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내 전체 전력 시설의 40% 손상됐고 140만 가구가 정전됐다. 완전 단전 시 수도 공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키이우 당국은 난방 중단에 대비해 난방 대피소 1000곳을 마련해뒀다고 밝혔다.


김수현 기자 newso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