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115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대기서 물 특징 포착”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7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제임스 웹으로 가스행성 대기 분석
“구름-연무 존재” 산소량 연구 기대
흑인 소작농 집안 출신 로빈슨
55점짜리 웹 망원경 95점 만들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차세대 망원경 ‘제임스 웹’이 포착한 ‘용골자리 성운(NGC 3324)’의 
모습을 12일 공개했다. 지구에서 약 7600광년 떨어진 이 성운은 가장 크고 밝은 성운 중 하나로 꼽힌다. NASA 홈페이지 
캡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차세대 망원경 ‘제임스 웹’이 포착한 ‘용골자리 성운(NGC 3324)’의 모습을 12일 공개했다. 지구에서 약 7600광년 떨어진 이 성운은 가장 크고 밝은 성운 중 하나로 꼽힌다. NASA 홈페이지 캡처
QR코드를 스캔하면 제임스 웹에 대한 인터랙티브 페이지(https://original.donga.com/2022/jameswebb)로 연결됩니다
QR코드를 스캔하면 제임스 웹에 대한 인터랙티브 페이지(https://original.donga.com/2022/jameswebb)로 연결됩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을 이용해 외계행성 대기에서 물 형태 물질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나사는 12일 “지구에서 약 1150광년(1광년은 빛이 1년간 가는 거리로 약 9조4600억 km) 떨어진 WASP-96 행성 대기에서 구름과 연무(煙霧), 물의 뚜렷한 특징을 포착했다”고 발표했다. 우리은하 봉황자리에 있는 WASP-96은 거대 가스행성으로 지름은 목성의 약 1.2배이고 질량은 절반 이하다.

WASP-96b는 지구에서 115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이다. NASA 제공.
WASP-96b는 지구에서 115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이다. NASA 제공.
2014년 WASP-96을 처음 확인했을 때 과학자들은 공전 주기 3.5일, 온도 섭씨 538도 이상이라는 사실은 알아냈지만 대기 관련 정보는 얻지 못했다. 그러나 JWST에 장착된 최첨단 ‘근적외선 이미지 및 슬릿리스 분광기(NIRISS)’를 통해 대기를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정밀 유도 센서 테스트 이미지. NASA 제공.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정밀 유도 센서 테스트 이미지. NASA 제공.
JWST는 지난달 WASP-96이 빛을 내는 항성을 지나는 ‘천체면 통과’ 현상을 6.4시간 관측했다. 이어 WASP-96 대기를 통과한 별빛과 통과하지 않은 별빛에 대한 빛 파장 흡수패턴을 통해 분광 분석을 했다. 인간 지문이 모두 다르듯 원자와 분자 역시 빛의 파장을 흡수하는 패턴이 각기 다르다. 그 패턴을 파악하면 대기 구성 원자 및 분자를 알아낼 수 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남쪽고리 성운(왼쪽 사진)과 스테팡 5중 은하의 이미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이 밖에 용골자리 대성운과 외계행성 WASP-96b도 관측했다. NASA 홈페이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남쪽고리 성운(왼쪽 사진)과 스테팡 5중 은하의 이미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이 밖에 용골자리 대성운과 외계행성 WASP-96b도 관측했다. NASA 홈페이지
나사는 “NIRISS가 포착한 WASP-96 분광 스펙트럼(0.6∼2.8μm·1μm는 100만분의 1m)은 여태껏 인류가 외계행성 대기에서 관측한 가장 상세한 근적외선 스펙트럼일 뿐만 아니라 이전 망원경으로는 접근이 어려웠던 더 넓은 범위 파장까지 아우른다”고 설명했다.

이번 관측은 지구 밖 사람이 살 수 있는 행성 연구의 대단한 진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과학자들은 JWST 분광 분석으로 외계행성 대기에서 인간 생존에 필수인 산소 탄소 등의 양과 대기 온도까지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포착해 11일(현지시간)공개한 풀컬러 우주 사진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으로 포착해 11일(현지시간)공개한 풀컬러 우주 사진
JWST가 이토록 강력한 우주망원경이 되기까지는 전체 프로젝트 디렉터를 맡은 그레고리 로빈슨(62)의 역할이 컸다고 미 뉴욕타임스(NYT)는 11일 전했다. 미 버지니아주에서 담배 소작농 흑인 부모의 자녀 11명 중 9번째로 태어난 로빈슨은 1989년 나사에 입사해 2018년 3월부터 JWST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지구에서 7600광년 떨어져 있는 용골자리 대성운은 남반구 별자리로 태양보다 몇 배나 큰 거대한 별들이 여기서 탄생하고 있다. NASA 제공.
지구에서 7600광년 떨어져 있는 용골자리 대성운은 남반구 별자리로 태양보다 몇 배나 큰 거대한 별들이 여기서 탄생하고 있다. NASA 제공.
그전까지 나사의 많은 프로젝트 평가를 책임진 로빈슨은 꼼꼼한 업무능력과 유연한 리더십으로 취임 당시만 해도 발사 능력 적합도 55%였던 JWST를 몇 달 만에 95%까지 끌어올렸다. NYT는 “로빈슨이 ‘이제 내 임무를 다해 일자리를 잃게 됐다’고 자랑스럽게 말했다”고 전했다.


신아형 기자 abro@donga.com


#nasa#우주#외계행성#제임스웹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