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주최 미주정상회의, 중남미 보이콧에 곤혹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6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권위주의국가 배제”에 불참 속출… 개막 하루 전에도 참가국 확정못해
좌파정권 증가속 中영향 확대 분석

미국이 개최하는 미주(美洲) 정상회의가 중남미 일부 정상들의 보이콧 선언으로 난관에 부딪혔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권위주의 국가 배제’ 원칙에 멕시코 등 중남미 일부 국가들이 불참을 선언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 견제에 집중하는 사이 중남미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아메리카 대륙 35개국이 참여하는 미주 정상회의는 6일(현지 시간) 장관급 회담 등을 거쳐 8일 바이든 대통령이 참석하는 정상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미국이 이 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1994년 1차 회의 이후 처음이다.

하지만 미주 정상회의는 개막을 하루 앞둔 5일까지도 참가국이 확정되지 않았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가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쿠바에 초청장을 보내지 않겠다고 하자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모든 국가가 초청되지 않으면 참석하지 않겠다”고 보이콧을 선언했다. 볼리비아와 일부 카리브해 인근 국가들도 멕시코에 이어 불참 의사를 밝혔다. 온두라스는 대통령 대신 외교장관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는 로이터통신에 미주 정상회의 준비 상황에 대해 “보이는 것보다 더 엉망”이라고 우려했다.

미국과 중남미 국가들 간 신경전의 이면에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와 바이든 행정부의 중남미 정책에 대한 불만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실패 등으로 멕시코, 온두라스 등에서 좌파 정권이 속속 집권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의 관계에 균열이 커지고 있다는 것.

특히 중남미 20개국이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에 동참하는 등 중남미에는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남미 국가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공식 출범시킨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와 유사한 미주 대륙판 경제협정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IPEF를 중남미로 확대하는 데 선을 긋고 있다. 백악관은 5일 “미주 정상회의는 경제적 번영과 기후 변화, 이민 위기와 팬데믹 대응 등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미주정상회의#중남미#보이콧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