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왜곡 교과서 항의하자 日 반발…“韓 항의 수용못해”

  • 뉴시스
  • 입력 2022년 3월 30일 17시 25분


코멘트
일본의 역사 왜곡 교과서에 대해 한국 정부가 항의하자, 일본 정부는 수용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30일 지지통신에 따르면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에 한국이 항의한 데 대해 “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항의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론했다”고 밝혔다.

마쓰노 관방장관은 “전문적, 학술적 심의에 근거한 공정·중립으로 검정이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아이들이 자국 영토와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주권국가의 공교육에 있어서 당연하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9일 일본의 문부과학성(교육부에 해당)은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 결과를 발표했다. 교과서에서는 일본군 ‘종군 위안부’, 조선인 ‘강제 연행’ 등 표현이 사라지고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억지 주장이 강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같은 날 이상렬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국장은 구마가이 나오키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외교부 청사로 초치해 강력 항의했다.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일본 정부가 자국 중심의 역사관에 따라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검정 통과시킨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시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번 일본의 교과서 검정 결과에는 정부의 작년 각의(국무회의) 결정이 적극 반영됐다. 지난해 4월 27일 일본 정부는 문헌, 법령 등을 근거로 ‘종군 위안부’를 ‘위안부’, 일제 강점기 한반도에서의 노동자 “강제연행‘은 ’징용‘과 ’동원‘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답변서를 각의 결정한 바 있다.

현지에서도 우려 목소리가 나온다.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히토쓰바시(一橋) 대학 명예교수(일본 근현대사)는 아사히 신문에 ”가해에 대한 기술이 약화된 것은 문제인 데다가, 역사적 평가를 포함한 용어를 각의 결정으로 정부 견해라고 바꿔 쓰도록 한다면 (교과서) 집필자는 저항할 수 없다. 검정 제도도 유명무실화로 연결된다“고 비판했다.

또 ”앞으로 교과서 기업 측이 정부의 의향에 따라 검정 신청 전 고쳐 쓰는 등 자율규제가 진행될 우려가 있다. 자국 역사의 어두운 부분에는 눈길을 주지 않고, 듣기 좋은 이야기만 실리게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