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만 보면 ‘깜짝’ 놀라고 무서워하는 이유가…조상 탓?

  • 동아닷컴
  • 입력 2016년 11월 16일 15시 17분


코멘트
4
사진=나고야대학
사진=나고야대학
사람은 뱀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공포를 느끼도록 진화돼 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일본 나고야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대학원 정보과학연구과 가와이 노부유키 부교수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사람은 뱀의 위장술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시각 능력을 갖도록 진화했다’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연구팀은 대학생·대학원생 실험자를 대상으로 뱀, 고양이, 새, 카나리아 등 네 가지 동물 사진을 제시했다. 이들은 각각의 사진을 1단계부터 20단계까지로 나눴다. 1단계에서는 흐린 정도를 95%로 아주 높여 어떤 동물인지 거의 분별이 어렵게 했다. 흐린 정도를 5%씩 줄여나가며 마지막 20단계에서는 가장 선명한 사진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실험자에게 각각의 사진을 1단계부터 제시하며 어떤 동물인지 알아맞히게 했다. 이 결과 실험자들은 뱀을 다른 동물들보다도 더 앞선 단계에서 인식했다. 뱀의 경우 6~7단계에서, 다른 동물들의 경우 9~10단계에서 어떤 동물인지 맞힌 것이다.

또 3세 유아와 태어나서 한 번도 뱀을 본 적 없는 원숭이에게 많은 꽃 사진 중에서 뱀 사진 한 장을 제시하고 뱀 사진을 찾게 했다. 반대 상황도 실험했다. 그런데 아이와 원숭이는 꽃 사진 속에 섞인 뱀 사진을 뱀 사진 속에 섞인 꽃 사진 보다 먼저 찾아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인류의 조상이 위협적인 포식자인 뱀을 잘 찾아낼 수 있게끔 시각 능력을 진화시켜 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약 6500만 년 전 인류의 조상이 나무 위에서 생활할 때 가장 위협적인 포식자는 바로 뱀이었다. 나무 위라는 환경에서 뱀은 다른 포식 동물들보다 사냥에 유리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뱀은 수풀이나 바위 사이에 몸을 숨기고 사냥하기에 인류는 이를 더 잘 감지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인류의 뇌는 뱀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발달했고, 공포를 느끼는 뇌 영역인 편도체로 보다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같은 현상이 인류의 시각능력 진화에 일부 역할을 했을 것이라며 뱀과 영장류가 서로 진화에 영향을 끼쳐 왔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박예슬 동아닷컴 기자 yspark@donga.com
  • 좋아요
    1
  • 슬퍼요
    1
  • 화나요
    0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16-11-16 19:27:24

    그런 측면도 일부 있지만 인간이 뱀에 느끼는 공포가 큰건 뱀이 소리없이 다가오기때문이다 산길을 가다가 무심코 옆을 보니 뱀이 다가와 있는 경험 독사에 물리면 사망이니 더 공포스러울 수 밖에

  • 2016-11-17 10:09:28

    뱀은 우선보기에 징그럽다, 영구 하느라 수고했다,

  • 2016-11-17 01:39:41

    말도 안되는 소리다. 나무에서 내려온지 600 만년이나 되는데. 100 만년전만 해도 벌레가 주식이었는데, 지금은 징그러워하고 먹지도 못하지 않나. 이미 인류가 안락한 문화 생활을 하면서 체득된 것일 거다. 지렁이 보고도 같은 느낌을 받는다. 지렁이가 더 무섭다.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