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보하이만 한때 봉쇄… 정부, 방사능누출 촉각

  • Array
  • 입력 2011년 8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국내영향 시뮬레이션

중국 당국이 핵잠수함 방사성물질 누출설이 나돌고 있는 보하이(渤海) 만 일대에 4일 오전과 오후 8시간 동안 선박 항해를 봉쇄한 사실이 확인됐다.

한국 정부는 방사성물질 누출이 사실일 경우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시뮬레이션하는 등 대응책을 강구하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지루(齊魯)만보는 랴오닝(遼寧) 성 해사국이 보하이 만 해역에서 4일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 선박통행금지령을 발동했다고 5일 보도했다. 해사국은 3일 자체 웹사이트에 올린 ‘랴오닝 항행경고 0085호’를 통해 보하이 만 일대 통행금지 사실을 미리 공지했다. 항해금지 구역은 다롄(大連) 항 앞바다를 포함해 북쪽의 랴오둥(遼東) 만 일대까지다.

해사국은 통행금지 이유와 관련해 ‘군사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하지 않았다.  
▼ 中 “핵사고 가능성” vs “특이동향 없다” ▼
국토해양부도 사고발생 전제로 서해 해류분석 등 대응 나서


해사국은 지난달에도 ‘군사임무’를 이유로 두 차례 항해금지령을 내린 적이 있었지만 이번처럼 광범위한 해역을 포함하진 않았다.

광범위한 보하이 만 통행금지령 발동 소식에 중국 누리꾼과 일부 언론은 항공모함 시험진수 또는 핵잠수함 사고가 그 이유일 것이라는 등 다양한 관측을 내놓고 있다. 중국의 첫 항공모함인 ‘바랴크’호는 현재 다롄조선소에서 막바지 개조작업을 하고 있다. 그러나 통행금지 시간이 끝날 때까지 바랴크호의 움직임은 전혀 포착되지 않았다. 바랴크호는 최근 엔진과 레이더 장비가 가동 중인 게 확인돼 진수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비록 바랴크호가 이날 시험진수를 하지 않았지만 다롄에 인접한 보하이 만에 통행금지령을 내린 것은 시험진수에 대비한 사전 준비작업의 일환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다롄 항에 정박해 있는 핵잠수함의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를 수습하기 위한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았다. 그러나 복수의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다롄 항 일대에서는 특이 동향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방사성 물질 누출과 관련이 있다면 어로작업은 물론이고 상선 통행을 전면 통제하거나 사고처리반의 이동 등이 목격돼야 하는데 아직 그런 움직임은 눈에 띄지 않는다”고 전했다.

미국에 서버를 둔 중국어 사이트 보쉰닷컴이 지난달 29일 핵잠수함 방사성물질 누출 사고를 보도한 이후 중국 누리꾼 사이에서는 관련 소문이 급속히 퍼지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한국 정부의 사고설 확인 요청에 “아는 바 없다”는 답변을 보냈다.

한편 국토해양부가 한국해양연구원에 의뢰해 다롄 항에서 실제 사고가 발생한 것을 전제로 국내 해역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 방사성물질은 아직까지 다롄 항 부근 반경 15km 이내에 머물러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후 여름철 북쪽 황해 해류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타고 방사성 물질은 다롄 항에서 보하이 만을 경유해 서쪽으로 흘러 산둥(山東) 반도 인근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둥 반도에서 해류는 갈라져 일부는 서해 북부 중앙부를 통해 다시 다롄 항 쪽으로 올라가고 나머지는 산둥 반도를 끼고 남쪽으로 내려간다. 남쪽으로 내려온 해류는 양쯔(揚子) 강에서 흘러나온 민물과 합쳐진 뒤 동쪽으로 이동해 한국 남해안이나 제주도에 도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과정을 거쳐 방사성 물질이 한국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3, 4개월 정도다.

누출된 방사성 물질이 한국에 도달할 때까지 바닷물에 희석되거나 바닷물에 떠다니는 물질에 달라붙은 뒤 해저로 가라앉기 때문에 국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해양연구원 정경태 선임연구원은 “3, 4개월에 걸쳐 도달한 해류를 통해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방사성 물질은 거의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다롄 항에서 잡힌 물고기나 다롄 항 인근에서 양식된 미역 등 해조류가 국내에 수입된다면 철저한 관리 감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또 정 선임연구원은 “다롄 항을 이용하는 화물선박을 통해서도 방사성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베이징=고기정 특파원 koh@donga.com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