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국민은 계속 불행하다고?

  • 입력 2005년 2월 23일 17시 41분


코멘트

“한국 중국 일본 국민의 ‘불행’은 계속될지 모른다. 경제적으로는 윤택해질지 모르지만 동아시아에선 개인적으로 행복을 추구하는 일이 집단 우선의 문화와 충돌하기 때문이다.”

시사주간지 타임이 ‘행복의 과학’이란 커버스토리(28일자)를 통해 분석한 각국의 행복 전망 중 하나다.

타임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경제적으로 부유해지면서 직업, 배우자, 물질에 대한 선택 폭이 넓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사회에 존재하는 집단중심의 문화와 충돌하면서 개인들이 높은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타임은 또 백인들은 개인의 행복을 긍정적인 목표로 인식하고 있지만 동아시아 문화는 개인의 행복 추구가 집단의 시기심을 유발한다든지, 집단의 조화를 깨뜨린다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화적 차이에 의해 행복이 달라질 수 있다는 뜻.

타임은 영국 경제학자인 리처드 레이어드 박사가 연구한 ‘국내총생산(GDP)과 행복의 관계’를 인용했다. 국민소득과 행복은 전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지만,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미국 스위스 노르웨이 네덜란드 등 국민소득이 높은 나라의 행복지수가 대체적으로 높다.

그러나 세계에서 국민소득이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인 나이지리아 국민의 행복지수는 ‘부자나라’ 일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한국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민의 행복지수는 소득에 비해 낮게 나타난 반면 푸에르토리코 콜롬비아 등 가난한 남미국가 국민의 행복지수는 높았다.

미국 일리노이대 에드 디에너 교수는 이에 대해 “남미의 문화는 삶의 만족도를 판단할 때 잘되고 있는 부분을 먼저 생각한다”면서 “그러나 동아시아 사람들은 자기 삶 중 가장 나쁜 것을 먼저 떠올리는 문화가 뿌리내려 있다”고 설명했다.

타임은 누구나 행복해질 수 있는 재능을 타고나지만, 이 재능은 결국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또 국가보다는 인간관계가 행복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진단했다. 소득이 줄어드는 것보다 실직이 더욱 개인을 불행하게 만드는 것은 사회적 관계가 파괴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가족과 친구와의 관계도 행복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이는 미국식 경제정책보다는 가족, 직업 등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정책이 바람직하다고 타임은 지적했다. 인간은 위험을 감수하고 얻는 것보다 갖고 있는 것을 유지하는 것에 더욱 큰 만족을 얻으며 민주화는 국민의 행복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타임은 덧붙였다.

박혜윤 기자 parkhyey@donga.com

주성원 기자 s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