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홍권희/이민자 투표권

  • 입력 2004년 8월 11일 18시 36분


코멘트
“대표 없이 과세(課稅) 없다.” 13세기 영국이나 미국 독립전쟁 때의 구호가 새삼 나오는 곳은 오늘의 미국이다. 시민권자만이 최고의 권리를 누리는 미국에서 영주권자 또는 합법 이민자들이 “최소한 지역선거에는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외치고 있다. 시장과 시의원, 교육위원 선거에 참여하겠다는 요구다. 수도 워싱턴의 경우 시의원 13명 중 5명이 이를 지지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선 불법 체류자를 포함한 모든 주민에게 교육위원 선거권을 주는 법안이 11월 주민투표에 부쳐진다.

▷이민자 권리 보호론자들은 “영주권자도 시민권자와 똑같이 미국을 위해 세금을 내고 파병되기도 한다”며 힘을 실어준다. ‘민주주의의 근본에 관한 문제’라는 지적이다. 반대론자들은 시민권의 개념이 손상된다고 주장한다. 투표권은 시민권자와 단순 체류자를 구별하는 것 중 하나라는 얘기다. ‘9·11 테러’ 이후 더 힘을 얻게 된 안보논리도 동원된다. “비시민권자도 투표한다면 오사마 빈 라덴에게도 선거권을 주란 말이냐”는 주장 같은 것이다.

▷‘이민자의 나라’ 미국에선 과거엔 이민자들에게 투표권을 허용해왔다. 흑인과 여성에게는 투표권이 없던 1800년대와 1900년대 초반까지 22개주에서 비시민권자도 투표했다. 20세기 초 동유럽 이민자들이 몰려오자 투표권이 제한되기 시작했다. 이들의 급진적인 경향을 우려한 때문이다. 결국 1928년 모든 투표가 시민권자에게만 허용됐다. 그 후 시카고 등 일부에서만 비시민권자의 지역선거 참여 기회가 부활됐다. 이민자들은 정치인들을 움직이기 쉬운 대통령 선거철을 맞아 잃었던 권리를 되찾겠다고 뛴다.

▷워싱턴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민주주의’를 외치는 에티오피아 출신 시민운동가 탐라트 메드힌은 ‘올해 안 되면 내년’이라는 태도다. 앤서니 윌리엄스 시장은 이 법안이 시의회에서 통과되면 서명하겠다고 약속했다. 워싱턴 시 법률의 거부권을 쥔 연방하원에서는 민주당은 찬반이 엇갈리고 있고 공화당은 반대론이 우세하다. 시민권을 취득한 미국의 한인들이 투표권자 등록에 큰 관심을 보인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미국 연방과 지역 정치무대에 한인이 여전히 적은 이유의 하나다.

뉴욕=홍권희 특파원 konih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