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해관리 어떻게?/미국]기상위성 동원 예방 주력

  • 입력 1999년 8월 4일 19시 41분


《미국과 일본은 한국보다 태풍과 홍수가 훨씬 잦고 규모도 크다. 그래도 그 규모나 빈도에 비하면 재산피해, 특히 인명피해가 극히 적다. 태풍과 홍수에 어떻게 대비하고 대처하기에 피해를 이처럼 줄일 수 있는가. 이들 두 선진국의 풍수해 관리체제를 알아본다》

92년 허리케인 ‘앤드루’가 미국 플로리다주 등을 강타했다. 재산피해 300억 달러(약 36조원). 단일 재해의 재산손실로는 미 역사상 최대 규모였다.

게다가 3주일 뒤에는 허리케인 ‘이니키’가 하와이를 덮쳐 10억 달러(약 1조2000억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그러나 두 차례의 허리케인으로 사망한 사람은 54명이었다.

미국은 1년에 평균 두 차례씩 허리케인의 내습을 받는다. 미국은 무엇보다 허리케인의 피해를 예방하는 데 주력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립기상청(NWS) 국립해양대기청(NOAA) 국립허리케인센터(NHC) 공군 등 다양한 기관들이 정확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데 엄청난 장비와 인원을 투입한다.

적외선으로 허리케인의 이동경로를 감시하는 기상위성은 허리케인의 발원지인 카리브해안에 상시 배치돼 실시간(리얼타임) 정보를 제공한다.

또 ‘허리케인 헌터(허리케인 사냥꾼)’라고 불리는 WC130 기상정찰항공기를 허리케인의 눈에 출격시켜 허리케인의 속도와 강도에 대한 정보를 중계한다.

이 임무를 맡은 53정찰 비행중대는 미시시피주 키슬러 공군기지에 배치돼 있으며 대서양과 태평양의 열대성폭풍이 허리케인으로 변할 조짐을 보일 때마다 수시로 출격한다.

NOAA도 독자적으로 항공기와 헬기부대를 운영하면서 전지구를 상대로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기상정보 수집 다음으로 중시되는 것은 재해예방조치. 마을마다 대피소를 운영하고 의용소방대를 조직해 주민대피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일단 재해가 발생하면 주(州)정부나 적십자 구세군 등 민간조직이 투입된다.

주 차원에서 수습할 수 없을 만큼 재해규모가 크면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재난구조요원(DEA)이 동원된다.

이들은 통신 수송 건설 화재진압 정보수집 의료 구조지원 대피소운영 등을 위해 동원되는 각종 기관들을 총괄하는 권한을 부여받아 일사불란하게 구조활동을 지휘한다.

FEMA는 대통령 직속기구로 연간 약 10억 달러(약 1조2000억원)를 쓰며 재해복구비 지원에도 관여한다.

〈워싱턴〓홍은택특파원〉euntac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