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로 심폐소생술 교육하고 스마트 케어로 노후 관리까지…서울헬스쇼 심포지엄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13일 17시 14분


코멘트
13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는 전상훈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13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는 서울헬스쇼 부대행사로 ‘메타버스(3차원 가상공간)를 향해 가는 첨단 병원들,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과 ‘스마트 케어 기술 기반 돌봄·의료 연계를 통한 건강관리 활성화’ 심포지엄이 차례로 열렸다.

‘메타버스를 향해 가는 첨단 병원들,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에서는 최근 대형병원 중심으로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적용한 메타버스를 의료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소개됐다. 발표를 맡은 전상훈 분당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최근 메타버스를 활용해 패혈증 환자에 약을 투여하는 등 치료 전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하고 가상공간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며 “수술방과 컨퍼런스에도 메타버스를 활용하면 교육효과가 더 좋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헬스쇼 부대행사로 ‘메타버스를 향해 가는 첨단 병원들, 현재와 미래’ 심포지엄과 ‘스마트 케어 기술 기반 돌봄·의료 연계를 통한 건강관리 활성화’ 심포지엄이 차례로 열렸다.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전문가들은 한의학과 지역사회 암케어 등 분야도 메타버스를 통해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재동 경희대 한의대학장은 주제 발표를 통해 “메타버스를 도입해 비대면 교육과 진료를 진행하면 한의학의 세계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윤정 국립암센터 부센터장은 “현재 국립암센터에서는 ‘지역사회 암케어 확장현실(XR)’을 도입해 직접 진료보다는 웰니스와 교육 연구 등에 한해서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 케어 기술 기반 돌봄·의료 연계를 통한 건강관리 활성화’ 심포지엄에서는 디지털·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을 통한 고령화시대 돌봄 및 의료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했다.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loT)·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익숙한 지역사회와 주거지에서 건강하게 노년을 보내게 하는 효율적인 수단”이라고 말했다.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이 내놓는 최신 기술도 소개됐다. 나군호 네이버 헬스케어연구소 소장은 “국내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 개인 유전자 분석 서비스, 익명 멘탈 관리 솔루션 등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네이버도 자체 AI 기술을 이용한 독거노인 안부전화 서비스 ‘클로바 케어콜’ 등을 선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스마트 헬스케어를 활용해 의료와 복지 중간지대를 보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명준 부산대병원 교수는 “병원 치료로는 회복을 유도하기 위한 치료시간이 충분하지 않다”며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대상자를 관찰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의료와 생활 속 복지를 연결해야한다”고 했다.
오승준기자 ohmygo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