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서로 벚나무들 아래 꽃잎들이 떨어져 있는 모습. 이날 때아닌 강풍과 우박, 소나기 등으로 벚꽃은 시민들이 제대로 즐길 새도 없이 졌다. 뉴시스
#서울에서 10년 넘게 음식 장사를 하는 A 씨. 4월에 벚꽃이 피면 매출이 다른 때보다 늘어나기 마련인데 올해는 오히려 1년 전보다 매출이 20%가량 줄었다. 때아닌 비바람과 강추위로 만개했던 벚꽃이 빠르게 져버린 이른 ‘벚꽃 엔딩’ 탓이다. 그는 “날씨 때문에 유동인구 자체가 크게 줄어 손님도 줄었다. 올해 4월은 잔인한 달로 기억될 것 같다”며 한숨을 쉬었다.
#대구에서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B 씨. 봄이 찾아오는 4월에 매출이 늘어나야 한 해 사업 운영에 숨통이 트이는데도 불구하고 최근까진 6개월 만에 가장 적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벚꽃 행락객도 없어졌고 역대 최악 산불로 관광객마저 줄어들었다. B 씨는 “남부지방은 그나마 있던 벚꽃도 지고 있어 이번 주는 손님 예약조차 없다”고 했다.
올해 ‘벚꽃 시즌’ 동안 소상공인들의 매출액은 1년 전보다 3%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년과 달리 강추위와 비바람으로 벚꽃이 빠르게 지는 바람에 식당 등을 찾는 발길이 뚝 끊긴 것이다. 3월 울산·경남·경북을 할퀴고 간 화마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줄줄이 벚꽃 관련 축제를 취소하는 등 악재가 이어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동아일보가 BC카드에 의뢰해 전국의 중소·영세가맹점 305만9000곳의 카드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벚꽃 시즌에 이들 가맹점의 매출액은 1년 전보다 3.3% 감소했다. 방문객 수도 4.2% 줄었고, 결제 건수 역시 0.6% 감소했다. 이는 올해 3월 31일∼4월 13일과 지난해 4월 1∼14일을 비교한 결과다.
BC카드 관계자는 “올해 벚꽃 시즌에 눈, 비가 내리고 기온이 크게 떨어지면서 야외 활동이 줄어 나타난 모습으로 분석된다”며 “일부 지방에서 영업지표가 두드러지게 악화된 건 산불로 인한 관광객 수 감소, 이로 인한 지역 축제 취소 등과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벚꽃이 만개했던 이달 13일 전국에서 소나기, 우박, 눈 등이 내려 꽃잎이 빠르게 떨어졌다.
올해 벚꽃 시즌에 광역자치단체(특별시·광역시도) 17곳 가운데 중소·영세가맹점의 매출액이 전년보다 증가한 곳은 광주(2.4%)뿐이었다. 2024년에는 광역자치단체 5곳의 중소·영세가맹점 매출액이 늘었다. 매출액 기준으로 가장 타격을 많이 받은 곳은 대전(―8.5%)이었고, 세종(―7.8%) 충남(―7.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방문객 수는 17곳 중 14곳에서 줄었다. 결제 건수가 줄어든 곳도 9곳이었다. 지난해에는 모든 광역자치단체에서 결제 건수와 방문객 수가 늘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기초지자체에서도 전국의 주요 벚꽃 명소들이 속해 있는 시군구의 중소·영세가맹점 매출액 하락이 뚜렷했다. 양재천 벚꽃 등 축제로 잘 알려진 서울 서초구의 가맹점 매출액은 8.3% 줄었고, 진해 군항제로 유명한 경남 창원시도 4.2% 감소했다. 여의도 벚꽃 축제(서울 영등포구·―2.6%), 석촌호수 벚꽃 축제(서울 송파구·―2.2%)가 열리는 곳들의 중소·영세가맹점 매출액도 전년보다 감소했다.
기초지자체 가운데 중소·영세가맹점의 매출액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전남 함평군(―18.3%)이었다. 전남 진도군(―15.8%), 강원 인제군(―15.5%) 등도 매출액이 15% 넘게 감소했다. 방문자 수는 충남 논산시(―16.4%)에서 가장 큰 폭으로 줄었고, 전남 광양시(―10.3%), 충남 서천군(―9.8%) 등의 감소 폭이 컸다.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25-04-19 05:51:00
벗 꽃이 문제가 아니라 찢째명이 이 도둑놈이 대똥이 되면 나라가 망한다
2025-04-19 08:36:01
벚꽃핑게데지 마라 전체적으로 경기가 안좋다 하이튼 민노조나 좌빠리 근성 넘들은 쯧쯧
2025-04-19 08:28:28
또 주말마다 비가 내렸잖음.. 이상기온으로 춥기도 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