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월급 한푼 안쓰고 모아 ‘서울 집’ 구입, 40세→49세로 늦춰져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24세 청년, 2000년엔 16년 걸려
집값 올라 22년새 9년 더 늘어나
전문가 “청년 주거 지원책 변화 필요”

서울 광화문으로 출퇴근하는 강모 씨(28)는 최근 결혼 준비를 위해 신혼집을 구하다 고민에 빠졌다. 부부가 모두 전문직으로 연 소득이 각각 약 1억 원이지만, 서울 주요 지역은 새 아파트 전세가 5억, 6억 원을 넘어가 대출을 받아도 전셋집 구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 씨는 “부모님 도움을 받지 않고 집을 구하다 보니 30년 넘은 아파트 3억 원 전세가 최선이었다”며 “전세대출 이자도 갚아야 하는데 집값은 계속 오르고 있어 내 집 마련은 꿈같은 이야기”라고 하소연했다.

20대 청년이 월급을 모두 저축했을 때 2000년에는 40대 초반에 가능했던 내 집 마련이 2022년에는 50세가 가까워서야 가능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급등하며 그만큼 내 집 마련 시기가 늦춰진 것이다. 21일 김준형, 박순만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의 ‘서울의 부담가능성, 어떻게 달라졌는가?’ 논문에 따르면 2000년에 24세 청년이 받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으면 40.05세에 서울에 집을 살 수 있었다. 하지만 2022년에는 같은 나이 청년이 집을 사려면 48.76세까지 월급을 모두 모아야 했다. 내 집 마련 시기가 9년 가까이 늦춰진 것이다.

25∼29세 청년의 경우에도 2000년 11.87년이었던 내 집 마련 기간이 2022년에는 19.10년으로 7년 이상 길어졌다. 이는 주택 시장에 신규 공급되는 주택가격(분양가)을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하는 청년 가구의 근로소득으로 나눠 산출했다. 이처럼 내 집 마련 기간이 대폭 길어진 이유는 소득 상승세보다 집값이 더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다. 논문에 따르면 20∼24세 청년의 월급은 2000년 월 104만 원에서 2022년 269만 원으로 158% 올랐다. 그사이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2000년 716만 원에서 2022년 3745만 원으로 5배 이상 올랐다.

전문가들은 청년 주거 지원에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요즘 청년들은 월급을 모아 집을 살 수 있었던 과거와는 전혀 다른 시대를 살고 있다”며 “주거 부담이 높은 지역에 주택을 더 많이 공급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위한 기금 조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30대가 월급 5년모아 살 수있는 ‘서울 집’, 20년새 5분의 1로 줄어


2000∼2004년 서울 5.2% 구입 가능
2020∼2022년엔 분양단지 1% 그쳐
“청년 맞춤형 주거프로그램 필요”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2024.04.21. 뉴시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의 모습. 2024.04.21. 뉴시스
서울 여의도 증권가에서 정보기술(IT) 개발자로 근무하는 이모 씨(31)는 20일 열린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조합원 취소분 1채 청약을 살펴보다가 혀를 내둘렀다. 2021년 분양 당시 19억5639만 원이었는데, 3년이 지난 현재 실거래가는 38억 원을 웃돌았던 것. 이 씨는 이번 청약이 무주택 기간, 청약통장 가입 기간 등 가점제로 운영된다는 소식에 지원 자체를 포기했다. 그는 “2차례 이직 끝에 연봉 1억 원대로 몸값을 올렸지만 집값 상승 속도는 따라잡을 수 없는 수준”이라며 “여자 친구가 원룸 전세 만기 6개월을 앞두고 집주인과 연락이 두절돼 연봉 인상분을 고스란히 전세 사기 주택 매입에 지원해야 할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2017년부터 이어진 집값 급등으로 20, 30대 청년이 월급을 모아 집을 사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급이 오르는 속도에 비해 집값이 오르는 속도가 더 빨라 따라잡을 수 없게 된 것이다.

21일 김준형, 박순만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의 ‘서울의 부담가능성, 어떻게 달라졌는가?’ 논문에 따르면 내 집 마련 부담은 20대뿐 아니라 30대에서도 크게 증가했다. 2000년 30∼34세 청년이 월급을 모두 모아 집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간은 9.04년이었다. 하지만 2022년에는 15.95년으로 7년 가까이 늘었다. 34세 청년이 2000년에는 43세에 내 집을 살 수 있었지만, 2022년에는 거의 50세가 돼서야 살 수 있게 된 것이다. 35∼39세에서도 내 집 마련 기간이 7.88년에서 13.63년으로 늘어났다. 논문은 서울의 아파트 분양가와 청년층 소득을 비교해 해당 수치를 산출했다.


서울 집값이 급등하며 5년 동안 월급을 모두 모으면 구입할 수 있는 단지는 사실상 사라졌다. 2020∼2022년에 35∼39세 청년이 월급을 모두 모으면 5년 내에 살 수 있는 단지는 이 시기 분양 단지의 1%에 그쳤다. 2000∼2004년에 이 비중은 5.2%였다. 나머지 20∼34세 청년 월급으로는 5년 안에 구입할 수 있는 단지가 2022년 기준 사실상 없었다.

주거비 부담은 최근 들어 더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서울 강남·서초·송파·용산구를 제외하고 없어졌고, 공사비까지 급등하며 분양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4월 기준 서울 아파트 3.3㎡당 분양가는 3884만1000원에 이른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75% 증가했다. 이 때문에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돼 있는 무순위 청약 등에 수십만 명이 청약하는 것이 흔한 모습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청약, 대출 등 전 영역에서 청년 맞춤형 주거 프로그램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현재 청년들은 주택청약제도를 본인에게 불리한 제도로 보고 있다”며 “청년 대상 특별공급 물량을 대폭 늘리는 등 청약 모델을 새로 짜 상대적 박탈감을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축적한 자산이 적은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 모기지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며 “질 높은 임대주택을 다양한 형태로 공급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이축복 기자 bless@donga.com
오승준 기자 ohmygod@donga.com
#청년 맞춤형 주거프로그램#서울 집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