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가구’ 750만명 역대최다… 3가구 중 하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2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작년 1인가구 35% - 2인가구 29%

지난해 ‘나 홀로 가구’가 전체의 35%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다시 썼다. 1인 가구 열 집 중 여섯 집은 1년에 손에 쥐는 소득이 3000만 원이 안 됐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70%를 넘었다. 소득과 자산이 적은 1인 가구가 빈곤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통계로 보는 1인 가구’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2000가구였다. 전체 가구의 34.5%로, 현재 방식으로 집계가 시작된 2015년 이후 가장 많다.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30%를 넘어선 이후 매년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2인 가구가 28.8%로 두 번째로 많았고, 3인 가구(19.2%)와 4인 이상 가구(17.6%)는 20%를 밑돌았다.

1인 가구가 늘어난 데는 만혼(晩婚)과 비혼(非婚) 풍조뿐만 아니라 고령층 인구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15년과 비교하면 1인 가구 증가 폭은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67.9%로 가장 컸다. 20대(52.3%), 30대(36.2%), 50대(29.6%) 등이 뒤를 이었다.

1인가구, 10명중 6명 年3000만원 못벌어… 빚은 평균 2847만원


1인가구 35% 역대최다
전체가구 소득의 절반도 안돼… 주거면적 줄어 55%가 40㎡ 이하
평균 금융부채는 1년새 4.3% 늘어… “연령-계층별 맞춤형 지원 필요”

여성 혼자 사는 가구 중에서는 ‘60세 이상’이 46.2%로 가장 많았다. 반면 남성의 경우 ‘30대 이하’가 41%로 다수였다. 여성 1인 가구 중 고령층이 많은 이유는 여성 수명이 남성보다 길어 배우자 사망 후 혼자 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남녀 1인 가구 수는 29세 이하에선 큰 차이가 없다가 30대에서 남성이 2배 가까이 더 많은데, 이는 30대 미혼 남성이 부모와 따로 사는 경우가 많아서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현재 소득에 만족” 24.3% 그쳐

1인 가구는 다른 가구보다 소득도 적고 더 작은 집에 살았다. 지난해 1인 가구의 평균 연소득은 3010만 원이었다. 1년 전보다 11.1% 늘었지만 전체 가구의 평균 연소득(6762만 원)과 비교하면 44.5% 수준이다. 특히 전체 1인 가구의 61.3%는 평균 연소득이 3000만 원 미만이었다.

1인 가구의 평균 주거 면적은 전년(46.2㎡)보다 줄어든 44.4㎡(2021년 기준)였다. 이는 전체 가구 평균 주거 면적(68.3㎡)의 65.0% 수준이다. 주거 면적 40㎡ 이하의 집에 사는 1인 가구의 비중도 54.6%로 전체의 절반이 넘었다. 지난해 1인 가구 중 아파트에 사는 비율(34.0%)도 전체 가구(52.4%)보다 크게 낮았다. 반면 단독주택에 사는 비중은 전체 가구 대비 12.0%포인트, 호텔·여관 등 주택 이외의 거처에서 사는 비중은 5.7%포인트 더 높았다.

현재 소득이나 소비 수준에도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올해 기준 현재 소득에 만족하는 1인 가구는 전체의 24.3%,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만족하는 비율은 19.6%에 불과했다. 각각 전체 가구 대비 3.9%포인트, 1.7%포인트 낮다. 소비에서 주거와 수도 등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았다. 1인 가구는 주거·수도·광열에 지출하는 비중이 17.6%로 전체 가구보다 6.1%포인트 높았다.

● 평균 부채 3000만 원 육박


1인 가구의 빚 역시 빠르게 늘고 있다. 1인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2847만 원(올해 3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4.3% 증가했다. 반면 전체 가구의 금융부채는 평균 6694만 원으로 1.6% 감소했다. 금융부채는 각종 담보대출과 신용대출, 할부 등을 포함한다. 1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2억949만 원으로 전체 가구(5억2727만 원)의 39.7% 수준이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 10곳 중 7곳도 1인 가구였다. 지난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1인 가구는 123만5000가구로 전체(169만9000가구)의 72.6%였다. 이 비율은 2015년(60.3%)부터 매년 증가해 2021년 처음으로 70%를 넘어선 뒤 지난해 또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처럼 다른 가구에 비해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은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연령·계층별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청년 1인 가구 대응 특별위원회’ 소속 홍선미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1인 가구는 연령과 계층별로 특성이 달라 청년층은 주거, 중장년층은 실업, 고령층은 빈곤 및 돌봄 대책을 마련하는 등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세종=조응형 기자 yesbro@donga.com


#나홀로 가구#역대 최대#1인 가구#맞춤형 지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