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당일인 지난달 29일 인천 강화도로 여행을 떠난 A 씨 가족은 해수욕장 바로 앞 도로변 식당에 들어갔다가 메뉴판을 보고 깜짝 놀랐다. 가장 저렴한 메뉴인 칼국수가 1인분에 2만 원이었던 것. 칼국수(3인분) 6만 원, 왕새우(소) 6만 원, 해물파전 2만 원을 시켰더니 4인 가족 한 끼 식사에 14만 원이 나왔다. A 씨는 “모처럼 나온 가족 여행이라 눈 질끈 감고 계산했다”면서 “전어회나 조개구이를 시킨 것도 아닌데 이 가격이 나와 놀랐다”고 말했다.
훌쩍 뛰어버린 물가 탓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란 말로 대표되던 풍요로운 추석도 옛말이 됐다. 연휴가 끝나면 그동안 멈춰 있던 가격 인상이 본격화하며 물가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일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서울 지역 외식 메뉴 평균 가격은 1만583원으로 3년 전인 2020년 같은 기간(8818원) 대비 20% 넘게 뛰었다. 1만 원 한 장으로 사먹을 수 있는 메뉴는 김치찌개 백반(7846원), 자장면(6992원), 칼국수(8962원), 김밥(3215원) 등 4개뿐이다. 3년 전 8000∼9000원대였던 냉면과 비빔밥은 평균 가격이 1만 원을 넘겼다. 외식 물가는 2021년 6월부터 올해 8월까지 27개월 연속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
매월 고정 지출하는 개인서비스 요금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미용실 커트 평균 비용(2만1077원)은 3년 전(1만8308원) 대비 2700원 넘게 올랐고 성인 일반 대중탕 1회 요금도 9769원으로 1만 원에 육박했다.
정부 물가 안정 기조에 맞춰 가격 인상을 보류해온 식품·유통업계가 연휴 직후 가격 조정에 나선 것도 물가 부담을 늘리고 있다. 1일부터는 서울우유협동조합, 매일유업, 남양유업 등 유업계가 흰 우유 제품을 비롯한 유제품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서울우유 ‘나100%우유’(1L) 출고가는 대형마트 기준 3% 올라 2900원대로 3000원에 가까워졌다.
우유를 재료로 쓰는 빵, 치즈, 아이스크림 등의 가격이 연쇄적으로 오르는 ‘밀크플레이션’ 가능성도 제기된다. 편의점 업계는 올해 7월 보류했던 롯데웰푸드 아이스크림 가격 인상을 이달 1일부터 반영하기 시작했다. 소비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그동안 공급가 인상분을 자체적으로 떠안아 왔지만 마진율이 줄며 인상분을 적용하기로 한 것. 이에 따라 ‘스크류바’ ‘돼지바’ 등 바류 아이스크림의 편의점 가격은 1200원에서 1500원, ‘빠삐코’ 등 튜브류 아이스크림 가격은 1500원에서 1800원으로 올랐다.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휘발유·경유 가격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에 따르면 9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L당 16.7원 오른 1776.3원으로 11주 연속 상승하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유가 등은 다른 물가에도 미치는 영향이 커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사에서 언급된 예가 해수욕장 앞 도로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이것은 바가지 요금일 가능성이 큼니다. 아직까지 주거지 근바에서 그렇게 비싸지 않습니다. 이왕이면 세금을 음식의 요금에따라 부과하는 것을 제안합니다ㅡ 예를 들어 말씀하신 칼국수 한 그릇이 2만원짜리하고 만원짜리를 같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무슨 시급올려서 월급 올리는거보다 물가는 세배 네배 더 뛰는데 그래서 시급을 함부로 건드리면 역효과인거다 개따 ㄹ 녀 ㄴ 들아 무식하니 답도 없는 퍼런 종족들.
2023-10-03 15:46:24
문죄이니 돈뿌린 후과가 이렇게나 큰것이다 아직도 더 오를것이다. 무식한 대캐들은 이것도 모르고 아묻따 파란당찍고 나락으로 가는거임.
2023-10-03 15:14:39
미친 탈원전으로 전기료 큰폭 인상, 멍청한 소득주도성장 정책으로 인건비 약 50% 이상 상승 등 영향으로 모든 물가는 고공행진을 할 듯.. 거기다가 유가, 환율, 원자재 상승까지.. 문씨가 저질러놓은 실패한 정책에 더해서 설상가상의 상황이네. 재앙이다 재앙이야~!!
2023-10-03 14:04:28
이미 이재명 법카 수사까지 다하고 100만원 미만으로 결론났는데 세금어쩌고 하는것도 웃기지 윤석열은 검찰 특활비로 150억을 지맘대로 처쓰고 원희룡은 제주도지사때 식비로 1억5천을 썼는데 누가 더 도둑놈이냐?? 정말 뇌없이 한쪽뇌만 쓰는인간들은 반성좀 해라 너같은 인간들때문에 윤석열 같은 놈들이 대통령을 하고 있는거여
2023-10-03 09:25:17
자기의 인건비와 봉급만 오를줄 알았다면 어리석은 넘이다. 지금 시골에서 외국인 하루 쓰는데 14만원인데 그러고도 장바구니물가가 비싸니 어쩌구 하면 안된다. 모두 삶은 소대가리의 업적이다
'지금 '트럼프' 재판이 진행 중이지만 정부에 신고할 때, 자산 가격 X, 금융권에서 대출할 때, 자산 가격 Y, 일단 사기죄, 아울러 선거사범죄, 역모죄, 셋은 유죄 확실하다'고 하듯이 X 가격, Y 가격이 다르지 않다면 비용 준거가 적절한 것이고 다르다면, 독과점인지 지하 경제인지 새로운 세수, 비공식 경제인지 도매상 횡포'분(proportionate portion)'처럼 '그림자' 경제인지 과세 당국이 판가름 해야죠.
2023-10-03 08:13:17
누가 더 무겁냐 시쇼게임의 결과다. 이윤을 남기려면 물건값 올려야 하고 물건값 오르면 또 월급 올리라고 시위 하고 그러다 보면 하늘이 높은줄 모르고 계속 올라 가겠네요. 하루 만원 들어 가는 생활비를 오천원에 살수 있는 방법은 없는가.
2023-10-03 07:42:31
비싸면 안가면 됨, 고로 식당은 손님 없어면 시장경게원리에 의해 가격을 내리던지 장사 안되면 문닫게 된다,
2023-10-03 06:09:17
기사에서 언급된 예가 해수욕장 앞 도로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이것은 바가지 요금일 가능성이 큼니다. 아직까지 주거지 근바에서 그렇게 비싸지 않습니다. 이왕이면 세금을 음식의 요금에따라 부과하는 것을 제안합니다ㅡ 예를 들어 말씀하신 칼국수 한 그릇이 2만원짜리하고 만원짜리를 같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댓글 12
추천 많은 댓글
2023-10-03 04:05:43
소주성의 성과가 확실히 나타나네. 시작일뿐.
2023-10-03 06:09:17
기사에서 언급된 예가 해수욕장 앞 도로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이것은 바가지 요금일 가능성이 큼니다. 아직까지 주거지 근바에서 그렇게 비싸지 않습니다. 이왕이면 세금을 음식의 요금에따라 부과하는 것을 제안합니다ㅡ 예를 들어 말씀하신 칼국수 한 그릇이 2만원짜리하고 만원짜리를 같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2023-10-03 05:37:40
기재부는 뭐하고 있냐? 기재부는 물가 잡아라! 선거도 하루하루 닥아오는데 물가잡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