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1% 서울·경기·인천 산다…수도권 쏠림 심화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9일 09시 09분


코멘트
대전관내 한 대학교에서 대전시교육청 주최로 열린 2023학년도 정시 대전·충청지역 대학입학정보박람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12.12/뉴스1
대전관내 한 대학교에서 대전시교육청 주최로 열린 2023학년도 정시 대전·충청지역 대학입학정보박람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2.12.12/뉴스1
일자리와 교육, 생활여건 등에 따른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매년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우리 국민의 약 51%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올해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29일 통계청의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69만2272명(지난해 11월1일 기준)으로 전년 대비 4만5799명 감소했다.

이 가운데 수도권에 사는 인구는 2612만4421명이었다. 전체 인구의 50.5%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 2019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선 수도권 인구 비중은 해마다 커지는 추세다.

2017년 기준 49.6%였던 비중이 2018년 49.8%, 2019년 50.0%, 2020년 50.2%, 2021년 50.4% 등으로 매년 약 0.2%포인트(p)가량 늘었다.

반면 비수도권은 인구 순유출이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해 인구를 권역별로 보면 영남권은 약 10만명이, 호남권은 2만3000명 각각 감소했다. 그나마 수도권과 거리가 가까운 중부권만 유일하게 3만3000명이 늘었다.

시군구로 범위를 더 좁히면 전국의 74개 시군구에서 인구가 늘었으나 나머지 155개 시군구에선 모두 감소했다.

ⓒ News1
ⓒ News1
특히 인구 증가 폭이 컸던 시군구 상위 10곳 중 8곳은 수도권에 위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 서구가 3만명이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고, 경기 화성시(2만5000명)·경기 평택시(1만6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상위 10곳 가운데 수도권이 아닌 시군구는 세종시(1만6000명)와 충남 아산시(1만4000명)가 유일했다. 두 지역은 정부 중앙 부처가 밀집해 있거나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곳이다.

이러한 수도권 쏠림 현상은 부동산에도 여실히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1140만4000가구 중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인 경우가 564만2000가구로 전체의 49.5%를 차지했다. 아파트에 사는 국민 2명 중 1명은 수도권이라는 의미다.

밀집도가 더 높은 연립주택의 경우 가구의 78.7%가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높은 땅값 탓에 단독주택(35.9%)만 상대적으로 수도권 비중이 작았다.

올해도 수도권 인구 밀집화는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새로 지은 아파트에 입주하는 비율을 뜻하는 입주율이 수도권인지, 비수도권인지에 따라 대비되는 양상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 13일 낸 보도자료를 통해 “비수도권 입주율은 2023년 1월 이후 60%대의 낮은 수준으로 정체되고 있다”며 “특히 주택시장의 양극화로 서울과 강원도의 입주율 차이가 전월보다 확대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수도권 입주율 또한 소폭 등락하곤 있으나 80%대 내외를 유지하는 점을 감안하면 비수도권과의 격차가 큰 셈이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