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빚 3년새 27% 급증… 全세대 중 가장 많이 늘어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1인당 평균 대출액 1억2500만원
팬데믹 저금리때 대출 크게 늘려
청년층 취약 대출자 신용위험 우려

최근 들어 전 연령대를 통틀어 청년층의 빚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30대 이하의 대출은 지난 3년간 30% 가깝게 급증했다. 이들의 1인당 평균 대출액도 은행과 제2금융권에서 약 1억250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하는 ‘팬데믹 버블’과 경기 둔화가 동시에 진행된 여파로 풀이된다.

30일 한국은행이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가계대출 잔액은 514조5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말(404조 원)과 비교하면 27.4% 증가했다. 같은 기간 40대는 9.2%, 50대는 2.3% 늘어나는 데 그쳤다. 60대 이상 고령층은 25.5% 늘며 30대 이하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최근 3년간 1인당 평균 대출액 증가율도 30대 이하가 가장 가팔랐다.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1인당 평균 대출액은 은행 7081만8400원, 2금융권 5413만5600원 등 총 1억2495만4000원으로 2019년 말(1억81만6200원)보다 23.9% 늘었다. 2금융권 대출액의 증가율이 3년간 32.0%로 은행권(18.4%)보다 월등히 높았다. 반면 50대의 1인당 평균 대출액은 3년간 4.0% 늘어나는 데 그쳤다. 40대도 1인당 대출액이 13.3%, 60대 이상 고령층도 2.6%만 증가했다.

한은은 팬데믹 저금리 상황에서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 취약 대출자를 중심으로 향후 신용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취약 대출자는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동시에 빚을 낸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경우를 말한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전체 취약 대출자 126만 명 가운데 30대 이하가 46만 명(36.5%)을 차지했다. 지난해 개인회생 신청자 가운데 30대 이하 비중도 46.6%(6913건)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2030#대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