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필요땐 압박, 나중에 법 들이대”
외신 “삼성 지휘자 없는 상태 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8일 법정 구속 실형을 선고받자 재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특히 이번 선고를 앞두고 재판부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이 부회장의 선처를 바랐던 터라 격앙된 목소리도 나왔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한국적 상황에서 최고 권력의 요구에 불응할 기업이 어디 있나”라며 “필요할 땐 압박하고, 나중에 법적 문제를 들이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상 대한상공회의소 경제조사본부장은 “새로운 시장 선점을 위해 도전을 해야 할 시기에 한국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에서 이 부회장의 부재가 한국 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중대한 사업 결정과 투자가 지연됨에 따라 경제·산업 전반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중소·중견기업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외 경제가 어렵고 고용 충격이 이어지는 암담한 상황인데 이럴 때 삼성을 중심으로 대기업들이 투자 확대에 나서고,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블룸버그는 코로나19 사태, 미중 무역갈등, 스마트폰과 반도체의 경쟁 심화 등을 언급하며 “리더십의 부재는 삼성전자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삼성의 일상적인 업무는 경영진에 의해 운영되겠지만 이 부회장의 부재는 대형 투자나 전략적인 장기 결정을 지연시키거나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도했다.
서동일 기자 dong@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이스타 ‘이상직 비자금’, 정권말 권력형 비리 비화하나
“정치 방송인 김어준 퇴출”…靑청원, 20만 명 동의
‘김종인의 입’ 물러난 김은혜 “누군가 상처받았을 것같아 반성”
“조국·임종석·이광철 범행가담 강한 의심"…‘靑 선거개입’ 불기소 처분서 보니
美中 항모 대치… 블링컨 “中, 힘으로 상황 바꾸려 하면 큰 실수”
광화문광장 공사, 시민의견 수렴 다시 거친후 결론 짓기로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