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삼성은 검찰의 기소 결정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하지만 2016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지속된 사법 리스크가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은 잦은 수사와 재판 일정으로 인해 정상적인 경영이 쉽지 않았던 상황”이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후 산업 구조가 흔들리고 있는 절체절명의 시간에 또다시 사법리스크에 시달리게 됐으니 혁신 동력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의 한 관계자도 “사법 리스크에 회사가 얽매여 있으면 전반적인 기업 분위기도 침체될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삼성의 투자 일정 및 인수합병(M&A)도 당분간 올스탑 될 전망이다. 2018년 발표한 ‘180조원 규모의 투자·고용 계획’, 133조원 규모의 시스템반도체 사업 육성 방안을 이을 초대형 사업구상이 나오기 힘든 상황이 됐다는 것이다.
대외 신인도 추락도 문제다. 글로벌 기업의 수장이 분식회계와 관련된 혐의로 기소됐다는 것은 향후 투자 유치와 글로벌 협업에 있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이 부회장은 특검 수사와 재판으로 인해 이탈리아 자동차업체 피아트크라이슬러의 지주사인 엑소르의 사외이사직을 사퇴한 데 이어 중국 보아오포럼 상임이사직 임기 연장을 포기했다. 코로나19 이전부터 미국 선밸리 콘퍼런스 등 글로벌 리더들의 네트워킹 자리에 참석하지 못했다.

수사심의위는 2018년 검찰 스스로 자체 개혁 방안으로 만든 제도다. 기소와 영장청구 등의 판단에서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고 결정하겠다는 목적이다.
재계 관계자는 “검찰이 자체 개혁을 위해 만든 제도를 주목받는 기업인에 대해서는 예외로 두는 선례를 만든 것 아닌가”라며 “코로나19로 한국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반기업 정서를 공고히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기업의 주주가치 제고를 비롯한 주가방어 활동에 대해 엄격한 법의 잣대를 들이댔다는 비판도 나온다. 주가 방어는 모든 기업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일상적으로 진행하는 합법적 경영활동이란 것이다. 실제로 코로나19 사태 직후 주가 급락이 이어지자 주요 임원들이 자사주 매입에 나서는 등 기업가치 유지를 위해 노력하기도 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조수진, 고민정 저격 “왕자 낳은 조선 후궁도 이런 대우 못받아”
백운규 ‘원전 즉시 가동중단 지시’ 인정… 檢, 이르면 27일 영장 청구
검찰, 최강욱 의원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기소
‘조국 아들 허위 인턴확인서’ 최강욱 1심 유죄…의원직 상실형
[단독]안철수, 국민의힘에 입당 관련 의견 전달
정년퇴직 검사 “檢내부에 외압편승 을사오적 있다”…“시원하다” 줄댓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