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 日석탄재 전수조사 시작…국내산 대체 본격화되나

  • 뉴스1
  • 입력 2019년 9월 4일 13시 47분


코멘트
쌍용양회 동해공장.(쌍용양회 제공)© 뉴스1
쌍용양회 동해공장.(쌍용양회 제공)© 뉴스1

환경부가 일본산 석탄재 검사 강화를 지난달 30일부터 시작하면서 시멘트 업계의 국내산 석탄재 확보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검사 강화로 인한 일본산 석탄재 수입 지연도 최대 한달이 예상됐는데, 10일 이내 정도로 지연 기간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는 당장의 큰 생산 차질은 피하면서 국내산 석탄재 확보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2일 동해항에서 日석탄재 검사 강화 시작

4일 환경부와 업계에 따르면 일본산 석탄재 검사 과정이 강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부는 지난 2일 강원도 동해시 동해항으로 들어온 일본산 석탄재의 폐기물 시료에 대한 검사 과정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날 약 4000톤(t)의 석탄재가 일본 관서지방 화력발전소로부터 들어왔는데, 이를 검사하는 과정을 공개한 것이다. 이 석탄재는 쌍용양회 북평공장의 저장탱크(사일로)에 보관돼 시멘트 제조에 사용되는 석탄재다.

검사 강화 이전에는 바로 공장 사일로에 저장돼 시멘트 제조의 원료로 사용됐지만, 이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능 검사 결과가 나온 후에 사용이 가능해진다. 애초 시멘트 업계는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기간을 약 한달로 추정했다. 그러나 4일 업계에 따르면 이 기간은 10일 정도로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국내산 석탄재를 대체하기 어려운 시멘트 업계의 주장을 정부가 일정 부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악의 경우 한달 정도 검사 기간이 소요돼 시멘트 생산에 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됐지만 정부가 검사 기간을 최대한 앞당겨 발표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며 “10일 정도 일본산 석탄재 수입 지연이 발생하면 시멘트 업계에서는 국내산 석탄재 확보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돼 최악의 경우는 면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8월 8일 석탄재 통관시 분기별 1회로 실시했던 석탄재 방사선 간이측정 결과와 결과제출을 수시로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일본산 석탄재 안전관리 강화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통관시마다 중금속과 방사능 간이측정도 실시한다. 또 통관 후 석탄재를 수입하는 업체들의 사후관리도 기존 분기별 1회에서 월1회로 바꿨다.

◇석탄재 국내산 대체 본격화…환경부 협의체 주도로 논의중

© News1
© News1

환경부는 일본산 석탄재의 국내산 대체 방안으로 국내에서 매립돼 재활용되지 않고 있는 석탄재 활용과 대체재 발굴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시멘트업계, 화력발전소, 환경부의 3자가 포함된 협의체를 구성해 가동 중이다.

시멘트 업계 관계자는 “현재 환경부에서 가동 중인 협의체에서 일본산 석탄재를 국내산으로 대체하는 여러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라며 “좋은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 중”이라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화력발전소를 관할하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도 일본산 석탄재 국내산 대체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지난 8월 29일 국회서 열린 석탄재 토론회에서 국내산 석탄재를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이전보다 구체적인 안을 내놓았다.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재 보관 시설을 발전소 내에 만들어 석탄재를 시멘트 업계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채은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과장은 “시멘트 업계서 필요로 하는 (석탄재 발생)시기와 석탄재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일치하지 않아 발생한 수요 공급의 불일치가 있다”며 “발전사가 보관 시설을 만드려면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좋은 방안을 설계해 투자할 수 있도록 협의체에서 협의 중”이라고 토론회에서 밝혔다.

한편 작년 기준 일본에서 한국으로 수입돼 시멘트 제조 원료로 사용된 석탄재는 128만톤이다. 제조에 사용된 총 석탄재 315만톤의 41%를 차지했다. 작년 국내 발전사에서 매립한 석탄재 비산재(飛散灰)는 총 180만톤으로 알려져 이를 잘 활용하면 일본산 석탄재를 모두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