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물가 1.1% 오를때 체감물가는 2.7%↑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5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최근 3년간 평균 상승률 1.6%P差

정부의 공식 물가지수와 일반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의 차이가 2배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예산정책처의 보고서 ‘소비자물가지수와 체감물가의 괴리 원인 및 보완 방향’ 에 따르면 2013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평균 1.1%였다. 같은 기간 한국은행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매달 설문조사하는 ‘물가인식’은 평균 2.7%로 집계됐다. 물가인식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1.6%포인트 높은 것이다.

보고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체감물가가 차이를 보이는 이유로 △체감물가의 심리적 특성 △상품의 질적인 변화 반영 여부 △소비자물가지수의 대표성 문제 등을 꼽았다. 우선 개인들이 각자의 체험과 정보에 따라 물가를 인식하다 보니 체감물가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비자들이 가격 하락보다는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으로 겪는 어려움이 큰 탓에 체감물가를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느낄 수 있다는 얘기다.

또 소비자물가지수는 제품의 품질이 좋아지고 동시에 가격이 상승했을 경우 질적 향상이 가격 상승에 차지한 부분을 뺀 순수한 인플레이션 기여분만을 반영하지만, 일반 소비자들은 가격상승분 전체를 물가 상승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이 주로 지출하는 품목이 다른데도 전체 가구의 평균적인 지출 패턴을 기준으로 소비자물가지수를 작성한다는 점도 두 물가의 차이가 생기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됐다.

문제는 공식물가와 체감물가 간의 차이가 커질수록 정부 정책의 신뢰도가 크게 훼손된다는 점이다. 이에 통계청은 공식물가와 체감물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대안을 마련 중이다. 우선 다음 달 소비자 본인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물품을 정해 직접 물가지수를 계산해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기로 했다.

장인성 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체감물가의 심리적 특성에서 오는 차이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소비자물가지수의 대표성 문제는 개선이 가능하다”며 “1인 가구, 노인가구, 저소득층 가구 등 소비 패턴이 서로 다른 집단별로 개별 물가지수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손영일 기자 scud2007@donga.com
#공식물가#체감물가#물가지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