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용등급 강등 후폭풍]반등? 추락? 시그널 보면 미래 장세 보인다

  • Array
  • 입력 2011년 8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中 7월 소비자 물가는?
美 추가 양적완화는?
스페인-伊 국채금리는?

‘대책은 쏟아지는데 뭘 얼마나 믿어야 하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으로 확산된 공포가 주식시장을 공황상태에 빠뜨리면서 향후 반등 또는 추가 폭락의 신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긴급 성명을 내놓은 데 이어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 대책과 발표가 쏟아질 예정이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두 가지 이상의 긍정적 신호가 상당 기간 지속돼야 시장이 안정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주식시장에 좋은 변수가 한두 가지 나오더라도 즉각 움직이기보다는 지켜보라는 얘기다.

○ 중국 ‘너마저도 vs 그나마’

일단 9일 발표될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중요한 신호 역할을 할 듯하다. 신영증권 김세중 투자전략팀장은 “미국과 유럽은 재정과 금융의 양쪽에서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시장을 반전시킬 수단이 별로 없다”며 “그나마 중국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CPI 상승률은 6월 6.4%를 보였다. 이는 2008년 6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때문에 7월에도 소비자물가가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면 중국이 긴축정책을 강화해 금리 인상과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그나마 중국은’이라는 긍정에서 ‘중국 너마저도’라는 우려로 바뀔 수 있어 증시에는 큰 악재인 셈이다. 7월 중국 CPI가 6.5% 이하 수준이면 일단 안심하고 9월에 발표될 8월 지수를 기다려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미국은 민간 회복 확인해야”

9일 미국에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열리고 25일부터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연차총회가 열린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이를 통해 시장에 유동성을 추가 공급하는 양적완화 정책을 비롯해 지급준비율 인하, 세제혜택 등 다양한 위기 극복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방안들이 금융시장에 바로 효과가 있을지는 불투명하지만 불안심리를 다독이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 국채 금리의 움직임도 주요 지표로 챙겨야 한다. 국채는 발행국의 신용도를 나타내므로 신용등급이 강등된 미국 국채 값은 떨어지는 게(국채금리 상승) 논리적으로는 맞지만 현실은 다르다. 신동준 동부증권 연구원은 “이 위기 국면에서 그래도 믿을 건 미국뿐이라는 판단에 따라 채권 값이 유지되거나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국 중심의 글로벌 금융시스템이 유지되는 신호이므로 증시에는 좋은 신호라는 얘기다. 반면 미국 채권 값이 급락한다면 세계적 금융시장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5일(현지 시간)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2.57%로 거래가 끝났다.

김세중 팀장은 “미국에서는 정부 대응책보다 민간 부문의 경기 회복 신호를 기다려야 한다”며 “기업이 인수합병에 활발히 나선다거나 공장 가동률이 높아지고 고용 및 소비에서 지속적으로 좋은 신호가 나온다면 그때가 투자에 좋은 시기”라고 조언했다.

○ 스페인 이탈리아 회복은 언제쯤?

이번 글로벌 위기의 중요한 축은 유럽이다. 그리스에서 출발한 국가 재정위기가 유럽의 주요 국가인 스페인 이탈리아로 확산됐기 때문이다. 시장이 가장 우려하는 시나리오 중 하나로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국채 금리 폭등(국채 값 하락)의 후폭풍을 들 수 있다. 이들 나라의 채권 금리 폭등이 이 채권을 보유 중인 은행권의 부실로 이어져 2008년 세계 4위 투자은행이었던 미국의 리먼브러더스 파산과 같은 사태가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유럽에서 나올 신호는 장기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6.45%와 6.12% 수준인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국채 금리(10년 만기 기준)가 5% 후반대로 떨어진다면 유럽의 위기는 한결 나아졌다고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이들 나라의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선다면 추가 구제금융을 받아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유럽뿐만 아니라 한국 증시에도 메가톤급 악재가 될 수 있다.

이은우 기자 libr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