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강 미니기업을 가다]<5>‘마사이 신발’ 만드는 MBT

  • 입력 2007년 1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건강신발 제작업체인 스위스 MBT는 관절 및 허리 통증 완화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신발을 개발해 지난해에만 6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MBT는 신발 판매뿐 아니라 고객의 몸 상태에 맞춘 걷기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한 고객이 MBT를 신고 트레드밀에서 걷기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MBT코리아
건강신발 제작업체인 스위스 MBT는 관절 및 허리 통증 완화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신발을 개발해 지난해에만 6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MBT는 신발 판매뿐 아니라 고객의 몸 상태에 맞춘 걷기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다. 한 고객이 MBT를 신고 트레드밀에서 걷기운동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MBT코리아
《한국에서도 무릎이나 허리 건강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MBT’라는 브랜드는 낯설지 않은 이름이다. ‘건강 신발’ 제조업체인 스위스 MBT(Masai Barefoot Technology)가 만든 신발은 무릎 관절, 허리 통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하나쯤 갖고 싶어 하는 ‘꿈의 신발’로 꼽힌다. 켤레당 가격이 30만 원 안팎으로 고가(高價)지만 직접 신어본 소비자들은 무릎, 허리 통증 완화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2006년에만 세계 20개국에서 200만여 켤레가 팔렸다. 주문이 넘쳐나서 공급물량이 부족한 상황이다. 스위스 취리히 인근의 로그윌이라는 자그마한 마을에 자리잡은 MBT 본사. 공장이 해외에 있어 사무실만 있는 2층짜리 본사 건물은 ‘MBT’라는 간판만 없다면 일반 주택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아담했다. 지난해 6000억 원의 매출을 올린 기업의 본사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 한국 논두렁서 아이디어 얻어

“서울에서 오셨다고요? 먼 곳까지 오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현관문을 열자 신발을 개발해 1990년 MBT를 설립한 카를 뮐러(54) 전 회장이 유창한 한국어로 인사를 건넸다. 취리히공대에서 기계제어공학을 전공한 뮐러 씨는 1976년 스위스에서 사귄 한국인 친구를 따라 한국을 방문했다가 지금의 한국인 부인을 만났다.

뮐러 씨는 MBT 신발 아이디어도 한국에서 얻었다. 한국에 머물며 레스토랑 등을 경영하던 그는 과로로 허리에 심각한 통증이 생겼다.

“요양을 하면서 시골에 머물고 있을 때였지요. 추수가 끝난 논두렁을 걷다가 푹신한 흙을 밟을 때 통증이 완화되는 것을 느꼈어요. ‘바로 이거다’ 싶었죠.”

1989년 한국을 떠나 고향 로그윌로 돌아간 그는 1년간의 연구 끝에 맨발로 흙 위를 걷는 느낌을 주는 신발을 개발했다.

MBT는 ‘마사이족처럼 맨발로 걷는 느낌을 주는 기술’이라는 의미로 붙인 이름이다. 마사이족이 맨발로 생활하며 건강하게 평균 80∼90세까지 산다는 점에 착안한 것. 뮐러 씨는 “MBT를 신어 봐야 회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며 매트가 깔려 있는 2층 강당으로 안내했다.

“맨발로 매트 위를 걷다 MBT를 신고 매트 밖 바닥으로 내려와 걸어 보세요.”

MBT를 신고 걸으니 맨발로 매트 위를 걸을 때처럼 푹신푹신했다. 허리와 가슴이 펴지면서 자세가 꼿꼿해지는 것이 느껴졌다.

신발을 살펴보니 일반 운동화보다 밑창이 두 배가량 두꺼운 데다 반달처럼 동그랗게 휘어져 있다. 신발을 신으면 발바닥 전체가 바닥에 붙지 않고 3분의 2 정도만 땅에 닿았다.

MBT 국제 마케팅 담당자인 안드레아스 디트레트 씨는 “일반 신발은 발바닥이 ‘뒤꿈치→앞꿈치’ 순으로 두 번 만에 땅에 닿지만 밑창이 둥근 MBT는 ‘발바닥 바깥→뒤꿈치→발바닥 안’ 순의 세 단계로 살짝 굴리듯 발을 내딛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무릎, 허리 등에 충격을 주지 않는다는 것.

디트레트 씨가 설명을 이어나갔다.

“MBT는 밑창이 바닥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몸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무의식중에 무릎, 허리 등 근육을 미세하게 움직이며 운동을 하게 만듭니다.”

MBT가 개발되기 전까지만 해도 ‘건강 신발’이라고 하면 발이 편한 신발이었다. 하지만 MBT는 발이 편할 뿐만 아니라 운동까지 시켜 주는 신발로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다가갔다. 소비자들은 MBT를 단순한 신발이 아니라 ‘발에 신는 운동 기구’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 연간 매출액 5% 연구 개발 투자

마사이 신발은 2005년 100만여 켤레가 팔린 데 이어 2006년에는 200만여 켤레가 팔려 판매량이 두 배로 뛰었다. 이 기간 매출액도 3000억 원에서 6000억 원으로 늘었다. 직원은 스위스 본사 직원 50명을 비롯해 모두 670여 명이다.

MBT의 고속 성장 비결은 신발의 품질에만 있지 않다.

MBT는 각 매장에서 걸음걸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신발을 파는 기업’이 아니라 ‘올바른 걸음법을 알리는 기업’이라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다.

MBT 매장을 ‘판매점’ 대신 ‘마사이 워킹 센터’라고 이름 지은 것도 이 때문이다.

마사이 워킹 센터에는 트레드밀이 비치돼 있다. 고객들은 MBT가 제시한 건강 프로그램에 맞춰 직접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한다.

신발의 품질과 디자인 개선도 게을리 하지 않는다.

MBT는 캐나다, 독일, 스위스, 영국 등의 의대와 공동연구를 실시해 1년에 두 번씩 업그레이드된 신발을 선보이고 있다. 연구 개발에 투자하는 비용만 연간 매출의 5% 정도.

신발 생산은 중국과 베트남 공장에서 하는데, 신발의 핵심인 밑창은 한국 부산에 있는 공장에서만 만든다. 한국은 인건비가 비싸지만 기술력이 뛰어나 밑창 생산 지역은 한국을 고집하고 있다.

디트레트 씨는 “허리와 무릎이 아픈 사람, 나이 들어서도 건강하게 살길 원하는 사람들이 모두 MBT의 고객”이라며 “많은 사람에게 건강을 선사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창업자 뮐러 전회장, MBT 팔고 피트니스센터 열어

“센터名 ‘기분’… 도전하는 삶이 즐거워요”

MBT 창업자인 카를 뮐러(사진) 전 회장은 최근 회사를 오스트리아의 한 사업가에게 매각했다.

그 이유에 대한 뮐러 씨의 설명이 좀 엉뚱하다.

“MBT가 성공을 거둬 기반이 잡히자 재미가 없어졌어요. 전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게 훨씬 즐거워요.”

그렇다고 해서 MBT와의 ‘끈’을 놓은 것은 아니다.

새 사업은 일종의 피트니스센터로, MBT를 신고 각자 프로그램에 따라 걷고 뛰는 운동을 하는 곳이다. 현재 무릎 관절, 허리가 아프거나 고혈압이 있는 경우, 발목을 다친 경우 등 증상별로 각각 다른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피트니스센터 이름을 ‘기분(Kybun)’이라고 지었다. ‘기분 좋은 삶’을 만드는 곳이라는 뜻으로 한국어에서 따온 것. MBT로 세계를 휩쓴 뮐러 씨의 또 다른 야심작인 셈이다.

지난해 중반부터 스위스 장크트갈렌에서 시범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정식 오픈도 하지 않고 준비를 하는 단계에서 석 달 만에 100여 명이 모여들었다. MBT와 마찬가지로 역시 입소문을 통해서다.

그는 ‘기분’을 세계적인 피트니스 체인으로 키울 예정이다. 올해 안에 한국에도 문을 열 계획.

하지만 쟁쟁한 대형 피트니스 체인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기분’은 그냥 운동을 하는 곳이 아니라 올바른 걷기와 뛰기를 통해 각종 문제를 치유해 주는 곳이 될 겁니다. 일반 피트니스센터와는 시장이 다르지요.”

한편 뮐러 씨는 자신의 이름을 딴 KM재단을 설립해 아프리카와 한국의 고아들을 돕는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도 하고 있다.

그는 매년 자신의 수입 중 10%를 KM재단에 기부한다. MBT 사업 아이디어를 얻게 해 준 마사이족이 교육시설과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난 뒤에는 케냐, 탄자니아 등에 사는 마사이족을 위해 학교를 세우고 급수시설을 설치해 주기도 했다.

취리히=손효림 기자 aryss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